전체기사

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문화

[이화순의 아트&컬처]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 삶과 예술 한자리서 본다

URL복사

3~15일, 서울 인사아트센터 2층 이방자여사 작품 전시
서거 30주년 맞아, 소장자 정하근씨 "미술관에 소장되었으면" 희망
사군자와 화조도, 서예, 도자, 칠보 등 170점의 선별작품



[시사뉴스 이화순 기자] “내게는 두개의 조국이 있다. 하나는 나를 낳아준 곳이고, 하나는 나에게 삶의 혼을 넣어주고 내가 묻힐 곳이다. 내 남편이 묻혀있고 내가 묻혀야 할 조국, 이 땅을 나는 나의 조국으로 생각한다.”(이방자 여사)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 여사(1901~1989) 가 서거한지 30주년을 맞아 그가 남긴 유작들이 ‘이방자여사 작품전’으로 3일부터 15일까지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 2층에서 한데 모인다.  전시에는 묵란 등 사군자와 화조도 50점, 서예 18점, 도자 34점, 칠보 32점, 기타 35점 등 모두 170점의 작품이 선보인다. 


출품작들은 모두 이방자 여사가 한일 관계와 역사를 넘어서 한국에서 장애인과 소외 계층을 위한 기금 마련과 교육을 위한 과정에서 직접 제작하고 만든 공예품과 미술 작품들이다. 그 기조에 단아하고 정갈한 느낌이 가득한 작품들은 일본과 한국에서 대가들에게 배운 솜씨와 정신력에 예술적인 면모까지 갖고 있다.    

추운 겨울에 꽃 핀 매화 나뭇가지에 한 쌍의 새가 정답게 담소를 나누듯이 앉아있는 수묵화 ‘한매쌍작’은 남편 영친왕(이은, 1897~1970)과의 애틋한 사랑과 그리움을 담은 작품이라 더욱 눈길이 간다. 

또 근대 한국화의 대가였던 이당 김은호와 월전 정우성에게 배운 솜씨로 그려낸 매난국죽(梅蘭菊竹) 사군자도 여러 점 선보인다. 사이사이 화려한 장미와 복숭화 그림, ‘나라가 조용하면 국민이 편안하다’는 뜻을 담은 ‘國精民康’(국정민강), ‘부지런함·검소함·사랑이 근본이다’는 뜻을 담은 ‘勤儉愛本’(근검애본), ‘매우 공정하며 사사로움이 없음’을 담은 ‘大公無我’(대공무아)  등의 글씨와 칠보 작품들은 그만의 내공을 보인다는 평가를 받았다. 


호산 안동오·도천 천한봉과 함께 빚은 도자기, 백자항아리, 백자철사문병, 청화백자도자기, 1년에 걸쳐 제작한 칠보 혼례복과 결혼 기념엽서, 가구 등에 이르기까지 한점 한점  사연이 깊다. 


황태자 이은과 일본 황실 가문 나시모토 마사코의  결혼 

이방자 여사는 1901년 일본 황실 가문인 나시모토가의 마사코로 태어나 16세에 조선 황태자 이은과의 결혼을 신문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한다. 한일의 민감한 시대에 정략 결혼을 하게 된 이방자 여사는 두 나라의 관계나 왕족간의 관계가 아닌 한 남자의 아내로 내조를 하며 살기를 희망하였다고 알려져있다. 

그러나 11세에 일본으로 강제로 끌려간 조선 황태자 이은에게 일본에서 왕족 대우를 받으며 살게 된 것은 가슴을 찢는 고통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이방자 여사는 그러한 남편의 아픔을 받아들이고 조용하고 세심하게 내조를 하였다.  첫째 아들 진이 8개월만에 급사하고, 몇번의 유산으로 10년만에 둘째 아들 구를 출산했다. 이후 진주만 공격과 일본 패전으로 황태자 이은과 이방자 여사는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버림받는 아픔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한국인 신분 없어 1962년에야 환국한 비운의 황태자 부부 

조선 왕족 신분이 상실된 두 사람의 환국은 1962년 정부의 지원으로 이뤄져 창덕궁 낙선재에 기거하게 되었다. 이후 영친왕은 대한민국 국적이 회복되었으나 지병으로 1970년 별세하고 이방자 여사는 혼자 몸이 되고 만다. 일본 출신이었기에 이방자 여사의 한국에서의 삶이 얼마나 힘들었을지 짐작할 수 있다. 

해방 이후 왕가의 재산이 몰수되었기에 비록 황태자비였으나 궁핍한 생활을 벗어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런 생활 속에서도 이방자 여사는 신체장애자 지체부자유자들의 생계유지를 위한 기술 교육 등 육영사업에 매진했고 사회복지법인을 운영했다. 

일본인이라는 시선은 이방자 여사에게 큰 두려움과 불편함이었지만 국내외로 활발한 복지 활동을 하면서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비가 아닌 복지의 어머니로 일생을 마쳤다. 



아름다움 정신과 삶에 매료된 정하근씨, 30년간 이방자 여사 유작들 수집

이방자 여사의 작품을 재조명하는 이 전시는 이방자 여사의 아름다운 삶과 정신에 매료된 정하근 고은당 대표가 지난 30년간 줄기차게 이 여사의 작품을 수집해온 덕분에 이루어졌다. 

정하근 대표는  “한국인도 아니면서 한국인 보다 더 한국을 사랑하고, 한국의 어려운 이들을 위해 봉사하며 살다간 이방자 여사의 삶과 훌륭하고 고매한 정신에 매료돼 오랜 세월 한점 한점 유작들을 모으기 시작했다”고 밝히고 “일본에서 기념관을 짓고 싶다며 계속 연락해오고 있지만 막상 한국에서는 남편의 조국을 자신의 조국으로 알고 평생 봉사한 분이 잊히고 있어 안타깝다.  이방자 여사의 유작 전체가 미술관에 소장되었으면 하는 것이 개인적인 바람이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종규 한국박물관협회 명예회장은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영욕의 시간을 흔들림 없는 꿋꿋함으로 견뎌내고 영친왕의 유지를 받들어 오로지 장애인들을 위해 헌신한 아름다운 손길과 마음씨를 추모하며 소박하면서도 희망 넘친 예술혼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또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이태섭 이사장은 “국가나 종약원에서 관리하고 개최되어야 할 작품 전시회를 개인의 힘으로 수집하고 열어주는 정하근 선생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인사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학교 먹는물’ 철저하게 관리한다··· 이효원 서울시의원 발의 조례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에도 ‘학교 먹는물’을 관리·지원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발의한 「서울특별시교육청 학교 먹는물 관리 조례안」이 지난 30일 제330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조례안은 서울시 교육감과 각 학교장이 교내 먹는물을 관리·지원하고 먹는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책무를 규정하기 위해 발의됐다. 교육감은 학교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한 지원 사업을 규정하고, 학교장은 교내 먹는물을 관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각각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본 조례안의 골자다. 현재 학교 먹는물은 학교와 지역별로 공급원과 공급장치가 상이하고 다수가 함께 사용하는 특성상 관리가 까다로워 보건·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서울시 학교의 경우 서울시 수돗물인 ‘아리수’ 음수대뿐만 아니라 정수기, 먹는 샘물 등 여러 공급장치가 설치돼 있어 학교 먹는물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효원 의원은 “물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누구나 매일 일정량을 섭취해야 하는 기본적인 영양소이자 필수 요소”라며 “무엇보다 학생과 교직원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제공되는 먹

문화

더보기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 전시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이은북(eeunbook)이 오는 2025년 5월 1일부터 30일까지 광주광역시 지하철 1호선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내에서 특별 전시 ‘5월, 우리가 함께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민주화운동기념관의 개관 기념 출판 지원을 받아 완성된 책 ‘10대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민주주의’의 원화와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했으며,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와 연계해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시민들과 함께 나누고자 마련됐다. 5월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기는 달이다. 특히 올해 5월은 ‘5·18민주화운동’ 45주년과 ‘2025세계인권도시포럼’이 열리는 뜻깊은 달로, 이번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모두가 민주주의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길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전시는 세계 곳곳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워 온 시민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민주주의가 흔들리고 위협받는 상황 속에서도 이를 지켜내려는 세계 시민들의 용기와 연대의 모습을 다채로운 일러스트와 함께 만나볼 수 있다. 5월, 광주를 찾는다면 꼭 들러보자. 민주주의의 의미를 다시 한번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