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8.5℃
  • 맑음강릉 7.3℃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9.6℃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9.4℃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6.2℃
  • 맑음제주 11.9℃
  • 맑음강화 10.7℃
  • 맑음보은 6.6℃
  • 맑음금산 6.7℃
  • 맑음강진군 7.9℃
  • 맑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코로나 신규확진 2191명, 올림픽 개막 2주 앞두고 2000명대...누적 81만2287명

URL복사

 

도쿄, 긴급사태 선언만 4번째 발동.. 도쿄도 총 17만7436명
도쿄 920명·가나가와 250명·사이타마 157명·오사카 151명 
일일 사망 가나가와 3명·사이타마 2명·아이치 2명 등 14명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일본에서 하루 2191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일본에서 도쿄올림픽이 2주일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코로나19 신규환자가 증가세를 보이는 수도 도쿄도에 4번째 긴급사태 선언을 발동할 방침인 가운데 7일 거의 한달 만에 2000명 이상 발병하고 사망자도 10명 넘게 나왔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에 따르면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이날 오후 9시45분까지 2191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


도쿄도에서 920명, 가나가와현 250명, 지바현 139명, 사이타마현 157명, 오사카부 151명, 아이치현 85명, 홋카이도 67명, 오키나와현 58명, 이바라키현 24명, 후쿠오카현 43명, 효고현 36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81만2000명을 넘었다.

일일환자는 6월 1일 2643명, 2일 3035명, 3일 2830명, 4일 2594명, 5일 2651명, 6일 2021명, 7일 1278명, 8일 1881명, 9일 2238명, 10일 2045명, 11일 1934명, 12일 1942명, 13일 1384명, 14일 934명, 15일 1417명, 16일 1708명, 17일 1550명, 18일 1621명, 19일 1519명, 20일 1307명, 21일 868명이다. 

 

이어 22일 1435명, 23일 1779명, 24일 1674명, 25일 1709명, 26일 1630명, 27일 1282명, 28일 1001명, 29일 1380명, 30일 1820명, 7월 1일 1753명, 2일 1776명, 3일 1880명, 4일 1485명, 5일 1029명, 6일 1670명을 기록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도쿄도에서 3명, 가나가와현 3명, 사이타마현 2명, 오사카부 2명, 아이치현 2명, 효고현 1명, 지바현 1명 합쳐서 14명이 숨져 총 사망자가 1만4903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4916명이 지금까지 목숨을 잃었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81만1575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81만2287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81만1575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17만7436명으로 전체 5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이어 오사카부가 10만4214명, 가나가와현 6만8939명, 아이치현 5만1453명, 사이타마현 4만7311명, 홋카이도 4만1596명, 지바현 4만1263명, 효고현 4만1113명, 후쿠오카현 3만5740명, 오키나와현 2만1165명, 교토부 1만6709명, 히로시마현 1만1543명, 이바라키현 1만704명, 시즈오카현 9471명이다.

 

다음으로 기후현 9291명, 미야기현 9222명, 나라현 8269명, 군마현 8060명, 오카야마현 7603명, 도치기현 7173명, 구마모토현 6494명, 시가현 5588명, 미에현 5295명, 나가노현 5049명, 후쿠시마현 5012명, 이시카와현 3981명, 가고시마현 3712명, 오이타현 3496명, 니가타현 3448명, 나가사키현 3219명이다. 

 

이어서 야마구치현 3163명, 미야자키현 3097명, 에히메현 2755명, 와카야마현 2697명, 사가현 2569명, 아오모리현 2531명, 야마나시현 2139명, 가가와현 2103명, 도야마현 2051명, 야마가타현 2030명, 고치현 1868명, 이와테현 1746명, 도쿠시마현 1658명, 후쿠이현 1341명, 아키타현 918명, 시마네현 555명, 돗토리현 494명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3198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7일 시점에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1명 줄어 480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7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77만8492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77만9151명이다.

PCR 검사 시행 건수는 5일에 속보치로 하루 동안 5만2263건으로 집계됐다.

한편 일본 정부는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난 도쿄도를 대상으로 다시 긴급사태 선언을 발동키로 하고 이를 여당 자민당 측에 전했다.

또한 오키나와현에 내린 긴급사태 선언도 연장하기로 했으며 도쿄도와 오키나와현 긴급사태 선언 시한을 내달 22일까지로 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최민규 서울시의원, “길거리 신상 공개는 과잉” 조례 개정 본회의 통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 공공시설 운영자에 대한 과도한 신상정보 노출을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가 마련됐다. 서울특별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소속 최민규 의원(국민의힘, 동작2)이 대표 발의한 「서울특별시 보도상영업시설물 관리 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제330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에 개정된 조례에서 운영자 정보는 시설물 내부에만 게시하도록 하고, 외부 게시 의무를 없애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시설물 관리의 효율성과 운영자 개인정보 보호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됐다. 특히, 외부 게시 조항과 함께 별지 서식(제7호)도 같이 삭제되어 행정 실무 간소화와 개인정보 보호 효과가 동시에 기대된다. 최민규 의원은 “시설물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내부 게시만으로도 충분하다”며, “이번 조례 개정은 불필요한 개인정보 노출을 줄이면서도 공공의 알 권리를 해치지 않는 방향”이라고 밝혔다. 또한 “운영자의 권리 보호도 행정이 책임져야 할 공공 영역”이라며, “서울시가 앞으로도 정보 공개의 기준을 더 정교하게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례 개정으로 보도상영업시설물 운영자는 더 이상 신상정보를 외부에 부착하지 않

문화

더보기
제16회 화성특례시 가족사랑축제’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화성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안필연)은 2025년 봄을 맞이해 따듯한 분위기 속에서의 예술가와 시민이 어우러지는 ‘2025 제16회 화성특례시 가족사랑축제’를 오는 5월 17일(토) 동탄복합문화센터 일원에서 개최한다. 이번 축제는 ‘봄봄 예술놀이터’라는 부제를 설정하고, 재단의 주요사업과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과 지역 예술인 간의 소통과 화합을 도모할 예정이다. 축제 현장에서는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예술체험, 기획전시 연계프로그램, 아트마켓, 공연, 올해의 도서 연계 등 다양한 체험과 이벤트가 진행된다. 주 무대 공연은 화성 뱃놀이 축제의 메인 프로그램 중 하나인 바람의 사신단 참가단체의 댄스 퍼포먼스가 진행되고, 버스킹존에서는 화성시 예술단이 아름다운 선율을 선사한다. 또한 골목놀이 체험존에선 가족과 함께 즐기며 소중한 추억을 쌓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화성시문화관광재단 안필연 대표이사는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해 온 가족이 함께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을 통해 가족 간 추억을 쌓고, 화합할 수 있는 축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자세한 사항은 화성시문화관광재단 홈페이지(www.hcf.or.kr) 또는 축제기획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