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방역 주도권을 쥐고 문재인 정부 정책과 차별화에 가속도를 붙이는 모양새다.
이 후보는 14일 코로나19 위중증 환자 폭증과 관련, "총력 대응을 넘어서는 특단의 대책을 실행해야 할 때"라며 정부에 즉각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를 요청했다. 거리두기 강화 결정을 미루고 있는 정부를 압박하며 자신의 결단력과 추진력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박찬대 선대위 수석대변인이 대독한 메시지를 통해 "정부에도 선제적인 비상시스템 가동을 촉구한다"며 거리두기 강화와 함께 선제적 소상공인·자영업자 손실보상, 일시적 실업·돌봄 공백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아울러 코로나19 백신 추가 접종(부스터샷)율이 저조한 가운데 정부에 적극적 조치를 당부했다. 백신과 인과성이 없는 명백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보상과 지원을 책임지는 네거티브 방식의 '백신국가책임제' 시행을 제안했다.
민주당 차원에서도 선거대책위원회 산하 코로나19 상황실을 원내대표 소관의 비상체제로 운영하는 한편, 매타버스(매주 타는 민생버스) 일정을 방역 상황에 맞게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거리두기 강화로 문재인 정부와의 차별화를 통해 방역 주도권을 쥐고 지지율을 견인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유입 이후 확진자 폭증세에도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피해를 우려해 거리두기 단계 격상에 대해서 만큼은 미온적인 태도를 취한 바 있다.
이 후보는 앞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등 금융당국을 고강도 비판하면서 코로나19 피해 손실보상 확대 필요성을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국민의힘에서 50조, 100조 규모 손실보상 및 지원을 시사하면서 정치적 공방만 이어졌을 뿐 방역 대책에서 치고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사상 최대치의 위중증 환자 규모, 중증환자 병상 포화 상태에서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위기상황 관리 능력과 리더십을 보여주는 것은 지지율 상승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지사 시절 쌓은 방역행정 경험은 이 후보의 강점이기도 하다. 이 후보는 지난 10일에도 소아·청소년의 경우 백신 부작용은 과학적 인과성 여부와 무관하게 보상하자는 정책 제안을 내놓았으며, 방역 정책 관련 기민한 소통을 위해 캠프 내에 코로나 상황실을 신설했다.
이 후보가 지난 주말 대구·경북(TK) 매타버스 일정 중 확진자와 접촉해 이날 PCR 검사를 받고 일정을 전면 취소한 상황도 방역 강화 판단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이 후보는 코로나19 검사 결과에 따라 오후에 일정을 재개할 여지를 남겨뒀지만 검사 결과 발표가 늦어지면서 모든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확진자 폭증으로 인한 방역 비상상황을 직접 체감한 것이 거리두기 강화를 제안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신현영 선대위 대변인은 이날 오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무래도 PCR 검사 긴 줄을 대기하면서 국민들이 얼마나 힘들게 방역에 참여하고 검사에 어려움이 있는지 느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윤석열 후보는 이제 막 선대위를 출범시키고 지방 행보에 나선 반면, 이 후보는 이미 한달 넘게 '매타버스'로 바닥 민심을 다져왔기 때문에 선거 전략 면에서 상대적으로 손실이 덜하다는 계산도 깔렸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