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스마트 기기 보급률이 증가하는 가운데 PC 사용자를 노리는 악성코드는 꾸준히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랩은 올해 1~3월 누적으로 총 1154만여 개의 PC 악성코드가 수집됐다고 13일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1187만여 개)와 유사한 수준으로, 3개월 간 하루 평균 약 13만개(12만8000여개) 발생한 것이다.
1분기 동안 탐지된 악성코드를 유형별로 분류하면 'PUP(유해 가능 프로그램)'이 전체의 52.8%를 차지했다. PUP는 주로 광고노출, 툴바 등의 설치로 자체 수익을 추구한다. 하지만 일부 PUP의 경우 허술한 보안 관리로 파밍이나 공인인증서 탈취 악성코드의 전파경로로 악용되기도 한다.
이어 공격자에게 원격에서 명령을 받아 사용자의 PC에서 악성 행위를 실행하는 '트로이목마 악성코드(Trojan)'가 27.2%를 차지했다. PUP와 트로이목마, 두 가지 악성코드가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광고를 전송하는 애드웨어(Ad-ware)가 6%, 웜(worm)류와 악성코드를 추가로 설치하는 다운로더(downloader) 및 기타 악성코드가 소량씩 발견됐다.
한창규 안랩시큐리티대응센터(ASEC) 실장은 "안전한 PC 사용을 위해서는 OS(운영체제)와 인터넷 브라우저, 오피스 소프트웨어(SW) 등 프로그램 업데이트 적용과 V3 등 백신 프로그램 최신버전 유지 및 실행, 제목이나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SNS에 첨부된 파일이나 링크는 실행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