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6개월간 315만 명을 끌어모으며 일본 현지 및 온라인 상에서 인기를 누렸던 오사카엑스포 한국관이 184일간 여정을 마치고 10월 13일 성황리에 폐막했다. 산업통상부(장관 김정관) 주최, KOTRA(사장 강경성)가 주관한 ‘2025 오사카엑스포 한국관’에는 총 2,550만 명의 엑스포 입장객 중 315만여 명이 찾았다. 한국관은 기술문화 전시에 더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박람회 기간 중 한일 정상회담 2회라는 상징성까지 더해지며 관람객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 오사카엑스포 한국관 성과 한국관은 ‘With Hearts(마음을 모아)’를 주제로 미디어파사드*와 3개 전시관으로 구성됐다. 한국관에는 총 262만 명 입장객에 온라인 홈페이지 방문 53만 명을 더해 총 315만 명이 방문했다. 하루 평균 1만 7천 명이 방문한 셈으로 입장 대기시간이 2~3시간에 달할 정도로 인기였다. * ‘미디어(Media)’와 건축물의 외벽을 의미하는 ‘파사드(Facade)’가 합쳐진 용어로, 건물 외벽에 LED 조명, 디스플레이 등을 설치해 영상이나 이미지를 보여주는 디지털 기법 방문객 중에는 벨기에 부총리, 스웨덴 왕세녀, 일본 황실 인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3610.60)보다 60.52포인트(1.68%) 내린 3550.08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59.49)보다 13.73포인트(1.60%) 하락한 845.76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21.0원)보다 9.0원 오른 1430.0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국가데이터처가 2027년 부산에서 열리는 제66차 세계통계대회(WSC)의 성공 개최를 공식 선언했다. 10일 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 5~9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65차 세계통계대회(WSC)에 김대유 데이터처 경제통계국장을 단장으로 대표단을 파견했다. 세계통계대회는 1887년부터 2년마다 열리는 통계 분야 최대 국제행사로, 일명 '통계 올림픽'으로 불린다. 우리나라는 2001년 서울 대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2027년 부산 개최를 계기로 26년 만에 다시 개최국이 된다. 데이터처는 이번 대회 현장에서 부산 벡스코 개최 계획을 알리고 각국 정부, 국제기구, 학계와 민간 통계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정부는 2027년 부산 대회에 전 세계 3000명 이상의 통계인이 모여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데이터 연계·활용 등 한국의 혁신적 통계·데이터 기술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불어 국내 전문가들의 연구 성과 발표와 네트워킹, 국내외 취업 기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김대유 단장은 현지에서 최근 통계청이 국무총리 소속 '국가데이터처'로 격상된 점과 주요한 추진 정책을 소개했다. 특히 AI 메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최근 리튬이온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으로 인한 대형 화재 사고가 발생하면서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5년간 발생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약 88%가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장치(PM)에서 비롯된 것으로 나타났다. PM 배터리 사고를 방지하려면 충전 중 또는 충전 후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9일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2020년~2024년 리튬이온배터리 화재는 총 678건으로 이 중 전동킥보드가 485건(71.5%)으로 가장 많았다. 전기자전거는 111건(16.4%), 휴대폰 41건(6.0%), 전기오토바이 31건(4.6%), 전자담배 10건(1.5%) 순으로 뒤를 이었다. 전동킥보드·전기자전거 등 PM 배터리 화재가 대부분(87.9%)을 차지하는 셈이다. 지난해 6월 경기 화성에 위치한 리튬 배터리 제조업체 아리셀에서는 화재로 인해 23명이 사망하고 9명이 다치는 참사가 발생한 바 있다. 최근에는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내 무정전·전원(UPS) 장치 리튬이온 배터리 이전 작업 중 화재가 발생하면서 전국의 행정전산망이 마비되는 사태를 겪었다. 리튬이온배터리 열폭주 현상은 배터리 충전 중이나 충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코스피가 추석 연휴를 앞둔 마지막 거래일 사상 처음으로 3500포인트를 돌파했다. 시가총액 1, 2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동반 급등하면서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4년 9개월 만에 '9만전자'로 복귀했고, SK하이닉스는 사상 처음으로 '40만닉스'를 돌파했다.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51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날 보다 2.33% 오른 3536.44포인트를 기록 중이다. 앞선 코스피 최고치는 종가 기준으로 3486.19(9월 23일), 장중 기록으로 3497.95(9월 24일)다. 수급 주체별로는 외국인이 8587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7913억원, 563억원 순매도하고 있다. 반도체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동반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두 회사는 미국 오픈AI와 손잡고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사업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본격 참여하기로 했다. 전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한 가운데, 두 회사와 협력의향서(LOI)를 맺고 월간 최대 웨이퍼 90만장 규모의 고성능 D램 공급 계약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다시 올라섰다. 지난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7%까지 떨어졌지만 한달 만 2%대로 들어섰다. 쌀값 급등에 달걀·육류 등 축산물, 외식물가까지 고공행진하며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부채질했다. 석유류 상승 전환과 통신사 요금 감면 종료 등으로 공업제품과 공공서비스 물가까지 상승세를 부추겼다. 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2%, 2월 2.0%, 3월 2.1%, 4월 2.1%로 4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뒤 5월에는 1.9%로 떨어졌다. 6월(2.2%)과 7월(2.1%)에는 먹거리 가격 상승 영향으로 다시 2%대를 기록한 후 8월(1.7%)에는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한 달 만에 다시 2%대를 기록한 것이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일부 휴대전화료 통신사 감면이 종료됨에 따라 공공서비스 전년동월비가 상승했고 그 요인으로 인해서 9월 물가는 2.1%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채소류가 12.3% 큰 폭 하락했지만 축산물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3455.83)보다 69.65포인트(2.02%) 오른 3525.48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45.34)보다 8.06포인트(0.95%) 상승한 853.40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03.2원)보다 1.2원 내린 1402.0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대한민국 인공지능(AI) 생태계를 움직이는 주요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30일부터 2일까지 사흘간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AI 주간 공식 페스티벌, AI 페스타 2025'를 개최했다. AI 페스타는 약 350여 개 기업·기관과 3만여 명의 참관객이 참여하는 행사로 최신 AI 트렌드와 혁신을 공유하고 교류하는 자리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193개 기업이 참여, 480개 부스 규모로 개최됐다. 이번 AI 페스타에는 오픈AI, 퍼플렉시티, 코히어 등 글로벌 빅테크와 LG, 네이버 등 국내 대표 AI 기업들과 LG CNS, 삼성SDS, 포스코DX 같은 국내 대표 IT 서비스기업들이 총출동한다. 행사 첫날인 30일엔 '우리 곁의 AI, 함께 묻고 답하다'를 주제로 일반국민 및 기업·산업계·학계 전문가 200여명이 함께하는 AI 타운홀 미팅을 열었다. 타운홀 미팅에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이 직접 참석해 국가 AI 비전을 발표하고, 참석한 청중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배 장관은 이 자리에서 미래 AI의 활용모습, AI 시대에 필요한 핵심 역량, AI 강국으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3424.60)보다 19.46포인트(0.57%) 상승한 3444.06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41.99)보다 4.33포인트(0.51%) 오른 846.32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02.9원)보다 1.3원 오른 1404.2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지난 8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보합세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상승 흐름을 끝냈다. 소매판매와 설비투자는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보합(0.0%)을 나타냈다. 올해 들어 산업생산 증감률은 1월 -1.6%, 2월 0.7%, 3월 1.1%, 4월 -0.7%, 5월 -1.2%로 등락을 거듭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인 6월에는 1.6%, 7월은 0.3%로 두 달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가 8월 들어 증가세에 제동이 걸렸다.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2.4% 증가했다. 하지만 서비스업 생산이 0.7% 감소했고, 건설업(-6.1%)과 공공행정(-1.1%) 부문도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소비는 4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8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2.4% 감소했다. 준내구재(1.0%) 판매가 늘었지만 비내구재(-3.9%)와 내구재(-1.6%) 판매가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6.0%)에서 크게 감소하면서 전월 대비 1.1% 줄었다. 건설기성은 건축(-6.8%)과 토목(-4.0%)에서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전월 대비 6.1% 감소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3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3431.21)보다 4.79포인트(0.14%) 오른 3436.00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46.71)보다 0.81포인트(0.10%) 상승한 847.52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398.7)보다 1.3원 오른 1400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이 향후 5년간 총 80조원을 투입해 생산적 금융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에 나선다. 또한 정부가 추진하는 국민성장펀드에 민간에서는 처음으로 10조원 참여 계획도 발표하는 등 경제회복을 위한 민관협력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우리금융그룹은 29일 임종룡 회장이 직접 나서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CEO 합동 브리핑’을 개최하고, 생산적 금융 73조원, 포용금융 7조원의 추진방안과 이를 뒷받침할 자본 안정성, AI기반 경영시스템 대전환, 자산 건전성 관련 사항 등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금융은 특히 경제 회복과 성장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된다는 절박함과 생산적·포용 금융이라는 금융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책임감을 갖고 이번 프로젝트를 준비했으며 즉시 실행에 나설 것임을 강조했다. 브리핑에는 임종룡 회장과 정진완 은행장을 비롯해 증권 남기천, 보험(ABL) 곽희필, 저축은행 이석태, 자산운용 최승재, 벤처파트너스 김창규, PE 강신국 등 자회사 CEO가 참석해 그룹 모든 자회사와 임직원이 진정성을 갖고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전환기... 생산적 금융 전환 절실 우리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iM증권은 29일 헥토파이낸셜에 대해 스테이블코인 시장 개화 시 기존 지급결제 인프라 강점으로 선도적 입지를 확보하면서 지급결제 분야에서 성장성 등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상헌 iM증권 연구원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허용 된다면 대표적으로 국내 가상자산 거래 기본통화, 해외 송금, 지급결제 시스템 개선, 금융서비스 운영 효율화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허용된다면 헥토파이낸셜에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에 따라 가장 먼저 적용이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되는 분야는 내국인 가상자산 거래다. USDT, USDC 등 달러 스테이블코인의 거래량은 지난해 3분기 17조원에서 같은해 4분기 60조원으로 증가했으며, 올해 1분기엔 57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이 연구원은 "이에 따라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나오게 되면 최소한 크립토 거래 통화와 송금 영역 등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면서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지갑 간 결제가 정착되면 현재보다 수수료가 떨어지고, 정산도 즉시 가능하다"며 "다른 한편으로는 스테이블코인의 프로그래머블 특성 등으로 무수히 많은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