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트리온, 3분기 매출 5488억 원, 영업이익 2453억 원 달성
대웅제약, 3분기 매출액 2489억 원·영업이익 70억 원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코로나19로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불구, 글로벌 수요 확대에 따른 공급·매출 증가에 국내 제약사들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우선 셀트리온은 연결기준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3분기 매출액 5488억 원, 영업이익 2453억 원으로 영업이익률 44.7%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89.9%, 영업이익은 137.8% 증가한 것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다.
3분기 실적은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와 위탁생산(CMO) 매출 증대, 생산 효율성 개선 등이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봤다.
기존 램시마IV의 안정적인 판매와 램시마SC 적응증 확대로 판매 준비가 본격화되고 테바(TEVA)의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Ajovy)’의 글로벌 성장이 지속되면서 CMO 공급이 증가해 매출은 전년 대비 89.9% 성장했다.
영업이익은 이에 따른 매출 신장과 1공장 증설 시설 본격 가동화로 생산 효율성이 개선돼 전년 대비 137.8% 증가하고 전 분기에 이어 이익률 개선세가 유지됐다.
셀트리온 주력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은 유럽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유지한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와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유럽 시장에서 램시마 55%, 트룩시마 37%, 허쥬마 1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테바의 편두통 치료제 아조비 CMO 공급계약은 계약총액 1156억 원 중 이번 분기에 매출 465억 원이 발생했다.
셀트리온은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바탕으로 하는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CT-P59 개발에도 매진한다.
셀트리온은 건강한 피험자 대상 임상 1상에서 안전성을 입증했고 최근 학회 발표를 통해 경증환자 대상 임상 1상에서도 안전성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해 경증·중등증 환자 대상 임상 2·3상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진단키트 전문업체와 협력해 항원, 항체, 듀얼 등 다양한 형태의 진단키트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신속진단 항원키트는 최근 미국 긴급사용승인(EUA)을 획득한 직후 미국 도매유통사와 2100억원 규모의 대형 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대웅제약은 2020년 3분기 경영실적(별도기준)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2489억 원, 영업이익은 70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은 2.7%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151% 증가했다.
대웅 측은 항궤양제 알비스 재고자산 폐기와 ITC 소송 등 비경상적 비용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실적을 지켜냈다는 평가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은 알비스 잠정판매 중단에도 불구 역대 최고 분기매출을 경신했고 보툴리눔톡신 ‘나보타’가 국내 매출에서 지속 성장했다. 일반의약품(OTC) 부문 역시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다.
ETC 부문은 전년 동기 1749억 원에서 8% 성장한 1889억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크레젯이 전년 동기대비 66.4% 성장했고 기존 주력 제품인 우루사·올메텍·가스모틴·루피어데포 등도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포시가·릭시아나·넥시움 등 주요 도입품목의 판매량도 증가했다.
나보타 매출의 경우 전년 동기 82억 원에서 37.2% 성장한 113억 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국내와 동남아 매출이 성장했고 캐나다·브라질 등 신규 발매 국가들에서도 매출이 발생했다.
OTC 부문 역시 전년 동기 3.6% 성장한 29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성장세를 이어갔다. 주력제품인 고함량 비타민B 복합제 ‘임팩타민’이 지난분기에 이어 100억 원대 매출을 유지했다.
한편 대웅제약은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인 DWRX2003(성분명 니클로사마이드)에 대해 국내임상과 함께 인도·필리핀에서 글로벌 임상을 승인받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