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업이익 7121억원, 영업이익률 38.5%…최대 실적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셀트리온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8491억원, 영업이익 7121억원, 영업이익률 38.5%로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22일 셀트리온에 따르면 전년 대비 매출액은 63.9%, 영업이익은 88.4% 늘어났다. 지난해 4분기만 별도로 매출 4987억원, 영업이익 1647억원으로 각각 30.3%, 44.3% 증가했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 확대로 공급량이 늘어난 것, 1공장 증설 시설의 생산 효율성이 개선되며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유럽 시장에서는 3분기 기준 램시마(자가면역질환 치료제) 52.8%, 트룩시마(항암제) 38%, 허쥬마(항암제)가 15.9%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했다. 미국에서는 4분기 기준 인플렉트라(램시마 미국 수출명) 점유율 11.8%, 트룩시마 19.8%로, 성장 추세다.
또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 확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렉키로나 글로벌 허가 확대, 램시마SC 시장 침투 가속화, 제3공장 신설을 통한 생산량 증대를 중점해 추진할 방침이다.
올해 2월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에서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인 ‘유플라이마(CT-P17)’를 판매 승인됐다.
3상 진행 중인 CT-P16(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CT-P39(졸레어 바이오시밀러), CT-P41(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CT-P42(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CT-P43(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등 후속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확대해 2030년까지 매년 1개 이상의 제품을 허가 받을 계획이다.
또 지난 2월에는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의 국내 조건부 허가를 획득했다. 미국, 유럽에 긴급사용승인 및 조건부 허가를 진행해 상반기 내 승인을 획득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국내 환자 10만명분의 치료제 생산을 완료했다. 수요에 따라 연간 150만~300만명 분을 추가 생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