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2.05 (수)

  • 구름많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6.4℃
  • 흐림서울 -9.5℃
  • 맑음대전 -6.4℃
  • 맑음대구 -4.8℃
  • 맑음울산 -3.5℃
  • 맑음광주 -4.9℃
  • 맑음부산 -2.7℃
  • 흐림고창 -7.1℃
  • 구름많음제주 3.5℃
  • 구름많음강화 -8.7℃
  • 맑음보은 -7.4℃
  • 맑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2.7℃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2.0℃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1학년 수시 · 정시 최종 등록률 심층해부(충청권)

URL복사

충북 · 충남 · 세종 · 대전 최종 등록률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2021학년도 대입 수시 · 정시 대학별 최종 등록률에서 충청권(충북 · 충남 · 세종 · 대전) 4년제 대학의 등록률은 93.1%로 전국 평균 93.7%보다는 밑돌았지만 서울 · 수도권을 제외한 다른  지방 권역별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4년제 대학의 총 모집인원은 6만9025명, 등록인원은 6만4283명으로 4742명이 미등록했다. 충청권 4년제 대학 총 42개교 중 50% 미만 등록률을 보이는 곳은 4개교, 60%대 등록률은 2개교, 70%대 2개교, 80%대 5개교, 90%대 초반은 6개교, 90%대 후반은 22개교, 100% 1개교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총 2만1829명의 모집인원 중에서 1만5712명이 등록, 6117명이 미등록해 72.0%의 등록률을 기록했는데 전국 평균 82.6%에 턱없이 모자랐다. 이 같은 등록률은 서울 · 수도권, 대구 · 경북 · 강원권, 부산 · 울산 · 경남권, 호남 · 제주권 전체를 통틀어 가장 낮은 등록률을 보여 충격을 주었다.  


대학 유형별 충청권의 자세한 각 대학별 등록률을 살펴보자. (표 참조)

 

충청권 4년제 건국대학교(글로컬) 99.9%, 청운대학교 66.4% 편차 커


■ 충청권 4년제 대학 등록률  


2021학년도 충청권 4년제 대학교 신입생 등록 정원 내외 최종 마감 결과, 모집정원 중 100% 등록률을 달성한 학교는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로 모집인원이 43명에 불과해 100% 등록률의 의미는 크게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건양대학교 대전캠퍼스가 838명 모집에 835명이 등록, 99.6%의 등록률을 보여 실질적으로 가장 높은 등록률을 보였다. 충남의 청운대학교는 1739명 모집에 1155명만이 등록, 66.4%의 등록률을 보이기도 했다. 


모집인원 기준으로 보면 충청권에서 가장 많은 학생을 모집한 곳은 충남대학교다. 총 3901명 모집에 3782명이 등록해 96.9%의 등록률을 보였고 그다음으로 백석대학교가 모집인원 3473명 중 3195명이 등록해 등록률 92.0%를, 공주대학교가 모집인원 3368명 중 3165명이 등록, 94.0%의 등록률을 보였다.


1000명 이상 모집인원에서의 등록률 기준으로 보면 건국대학교(글로컬)가 1641명 모집에 1639명이 등록했고 99.9%의 등록률을 달성했다. 


상명대학교(천안)는 모집인원 1450명 중 1443명이 등록을 완료해 99.5%의 등록률을 나타냈다. 이어 단국대학교(천안)가 99.3%, 한국교통대학교 99.0%, 홍익대학교(세종) 98.9%, 우송대 · 충북대학교 98.6%, 남서울대 · 한남대학교 98.3%, 고려대학교(세종) 98.2%, 청주대 · 한밭대학교 98.0%의 등록률 순을 기록했다.

 

 

전문대학교 등록률 72.1%로 지방권역별 꼴찌 연암대학교 97.5%로 선전

 

■ 충청권 전문대학 등록률

 

수시 · 정시로 신입생을 뽑은 충청권 전문대학은 모두 16개교로 이중 연암대학교가 97.5%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등록률을 보였다. 충북도립대학교는 95.2%, 충남도립대학교 94.0% 등 3개 대학교가 90%대 이상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모집인원 기준으로 보면 백석문화대학교가 2506명을 모집해 충청권에서 가장 많았지만 1568명이 등록해 938명이 미달, 62.6%의 등록률에 그쳤다. 


그 다음으로 우송정보대학교가 2161명 모집 중 65.9%의 등록률을, 대전보건대학교는 2009명 모집에 78.3%의 등록률을, 대전과학기술대학교는 1910명 모집에 78.0%의 등록률을 나타내는 등 사상 최악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대전의 대덕대학교(61.7%), 충북의 강동대학교(61.8%), 대전의 우송정보대학(65.9%), 충청대학교(66.8%), 충남의 아주자동차대학(67.4%) 등이 70%를 밑도는 등록률을 기록한 것과 혜전대학교(71.1%), 대원대학교(74.6%), 충북보건과학대학교(77.0%), 한국영상대학교(77.8%), 대전과학기술대학교(78.0%), 대전보건대학교(78.3%) 등도 80%를 밑돈 것은 2021 전문대 입시의 이변으로 받아들일 정도로 참담한 등록률이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관련기사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2024 국정감사 우수의원 평가회·시상식’ 성료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시사뉴스와 수도권일보가 주최한 ‘2024년 국정감사 우수의원 평가회 및 시상식’이 4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12번째를 맞이한 ‘2024 국정감사 우수의원’은 지난해 ‘역대급 정쟁국감’이라는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모니터링하여 국정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시정을 촉구한 24명의 국정감사 우수의원을 선정해 시상한 자리였다. 강신한 시사뉴스·수도권일보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요즘 대한민국의 상황은 ‘불확실성’ 그 자체이다. 특히 ‘헌법’ ‘법치’를 강조하면서도 서로에게 유리한 부분만을 끌어다 써 오히려 혼란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타개할 곳은 국민의 대의기관이자 ‘헌법기관’인 국회와 국회의원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우리 정치는 항상 크고 작은 갈등과 대립이 있어 왔고, 그때마다 이를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한 것은 국회였다”며, “서로 얼굴을 붉힐지언정 국회의원 각자가 물밑에서 이를 조율하고, 합의하려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고 부연했다. 이어 “국민과 민생을 위해서는 여야나 보수·진보가 나뉠 수가 없다”며, “국민이 살기 힘들다는데 어느 정치인이 이를 외면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철학부재(不在)가 빚은 참극…‘공정과 상식’ 빨리 되찾기를
지난 4일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중장·구속)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중장·구속)이 본인들의 내란 혐의 형사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탄핵심판 핵심 이슈인 ‘체포조 지시’관련 질문에 사실상 진술을 거부했다. 반면 증인으로 참석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직접 지시받았다고 증언했다. 이에 대해 직접 변론에 나선 윤대통령은 “계엄 당일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를 했니 받았니 하는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걸 쫓는 느낌”이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홍 전 차장의 진술에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며 변론했다. 5차례에 걸친 헌재 변론기일에 나온 증인들과 자신에 대한 탄핵심판 변론에 나선 윤 대통령의“계엄은 경고용”이라는 발언, 특히 지난 4차 변론기일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한 게 아니라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