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2.05 (수)

  • 구름많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6.4℃
  • 흐림서울 -9.5℃
  • 맑음대전 -6.4℃
  • 맑음대구 -4.8℃
  • 맑음울산 -3.5℃
  • 맑음광주 -4.9℃
  • 맑음부산 -2.7℃
  • 흐림고창 -7.1℃
  • 구름많음제주 3.5℃
  • 구름많음강화 -8.7℃
  • 맑음보은 -7.4℃
  • 맑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2.7℃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2.0℃
기상청 제공

사회

[단독] 2021학년 수시 · 정시 최종 등록률 심층해부(영남권1)

URL복사

대구 · 경북 · 강원 최종 등록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대구, 경북, 강원권 대학도 2021년 대학입학 전형에 따라 최종 등록률이 전년도보다 급락했다. 
4년제 대학의 대구, 경북, 강원권 최종 등록률을 살펴보면 5만4658명 모집에 4만8519명이 등록해 88.8%의 등록률을 보였다. 


전문대학도 3만0555명 모집에 2만5925명이 등록, 84.8%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4년제 대학과 전문대 등록률이 90%이하를 기록한 것은 입시사상 처음 있는 일로 최악의 등록률을 실감하게 했다.

 
대학 유형별, 대구, 경북, 강원권별로 좀 더 자세히 각 대학별 등록률을 살펴보자. (표 참조)

 

한동대 100% 등록률 기록한 반면 경북대 · 계명대 96~97%대 충격


■ 대구, 경북지역 4년제 대학  


2021학년도 입시에서 지역 주요 대학 신입생 최종 등록률은 대부분의 대학이 ‘미달’ 사태를 겪었다. 특히, 대구대학교는 4617명 중 3502명 등록 75.9%로 나타났다. 미달 인원만 1115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경주대는 741명 모집에 105명 등록 14.2%로 경북 · 대구권 대학 중 가장 낮은 최악의 등록률을 보였다. 가장 높은 대학으로는 대신대학교, 한동대학교 각각 등록률 100.0%를 기록했다. 


포항공과대학교 99.1%로 높은 등록률을 기록했고, 금오공과대학교 82.5%로 비교적 낮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공과대도 사립과 공립에 따른 등록률에 편차를 보였다.


경북대학교는 5018명 모집에 총 4555명이 등록해 등록률이 최종 96.8%로 집계됐다. 계명대학교는 정원 4931명 중 4814명이 등록 최종 등록률은 97.6%다. 영남대학교는 4832명 정원에 4794명 등록 99.2% 등록률을 나타냈다. 이상 3개의 대형 대학 중 영남대를 제외한 경북대, 계명대가 96~97%를 기록해 충격을 주었다. 


대구가톨릭대학교는 지난해 100%의 등록률을 보였으나 올해는 83.3%로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한의대학교도 지난해 99.8%였던 등록률이 올해는 96.2%로, 경일대학교도 지난 99.3%에서 93.4%로 떨어졌다. 


그 외 대구교육대학교(98.8%), 김천대학교(95.9%), 경운대학교(96.7%), 위덕대학교(94.5%), 동양대학교(80.9%), 동국대학교(경주)(92.1%)로 전년 보다 등록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 미달 속출하는 가운데 99.4%의 높은 등록률 보인 강원대학교


■ 강원지역 4년제 대학


강원지역도 신입생 정원 미달 사태가 속출했다. 상지대학교는 2416명 모집에 1649명 등록해 68.3%의 가장 낮은 등록률을 보였고, 767명이 미달됐다. 


가톨릭관동대학교도 2184명 모집에 1624명이 등록 74.4%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미달 인원은 560명으로 집계됐다. 


강원대학교는 3192명 모집에 3174명이 등록해 99.4%의 높은 등록률을 나타냈으며, 한림대학교는 1874명 중 1867명이 등록해 연세대(미래)와 공동으로 강원권 대학에서는 99.6%의 가장 높은 등록률을 보였다. 


강릉원주대학교(원주)는 522명 모집에 514명이 등록해 최종 등록률 98.5%를 보였다. 그 외에 경동대학교(78.6%), 상지대학교(68.3%), 한라대학교(69.1%)는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취업률 높던 대구지역 전문대학 인기도 옛말


■ 대구, 경북지역 전문대학


취업률이 높던 대구지역 7개 전문대학도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올해 가장 낮은 등록률을 기록한 곳은 영남이공대학교로 2488명 모집에 1935명 등록 미달인원 553명으로 집계됐으며, 최종 등록률은 77.8%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등록률을 기록한 곳은 대구공업대학교로 735명 모집에 681명 등록 92.7%의 등록률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그 외에 영진전문대학교(84.8%), 대구보건대(87.1%), 계명문화대(83.9%), 수성대학교(89.7%), 대구과학대학교(90.0%)의 등록률을 보였다.


경북지역 15개의 전문대학 중 등록률이 가장 낮은 대학은 영남외국어대학으로 395명 모집에 167명이 등록해 42.3%라는 최악의 등록률을 보였다.


반면 등록률이 가장 높은 경북과학대는 750명 정원이 모두 등록한 100.0%의 등록률을 기록했다. 구미대학교도 1822명 모집에 1778명이 등록해 97.6%의 상대적으로 높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그 외에 호산대학교 (91.2%), 대경대학교(90.6%)가 90%를 상회하는 등록률을 보였고, 성운대학교(89.9%), 문경대학교(89.6%), 경북전문대학교(87.2%), 경북도립대학교(86.9%), 경북보건대학교(86.2%)가 85%이상, 가톨릭상지대학교(83.0%), 포항대학교(80.9%), 선린대학교(80.7%)는 80%이상, 서라벌대학교(75.6%), 안동과학대학교(66.3%)는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다. 

 

 

95% 넘는 대학 강원도립대학교가 유일


■ 강원지역 전문대학 


강원도 내 8개 전문대 중 가장 높은 등록률을 기록한 강원도립대학교는 330명 모집 중 314명 등록해 95.2%의 준수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이어 강원관광대학교 (92.5%), 한국골프대학교 (91.6%) 등이 90%를 넘겼으며, 한림성심대 (81.1%), 세경대 (86.8%), 송호대학교 (84.2%) 등이 80%대의 등록률을 보였다. 


가장 낮은 등록률을 기록한 송곡대학교는 236명 모집에 164명 등록해 69.5%를 낮은 등록률을 보였다. 두 번째로 낮은 강릉영동대학교는 올해 1150명 모집에 800명이 등록해 350명이 미달돼 69.6%의 저조한 등록률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관련기사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2024 국정감사 우수의원 평가회·시상식’ 성료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시사뉴스와 수도권일보가 주최한 ‘2024년 국정감사 우수의원 평가회 및 시상식’이 4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개최됐다. 12번째를 맞이한 ‘2024 국정감사 우수의원’은 지난해 ‘역대급 정쟁국감’이라는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모니터링하여 국정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시정을 촉구한 24명의 국정감사 우수의원을 선정해 시상한 자리였다. 강신한 시사뉴스·수도권일보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요즘 대한민국의 상황은 ‘불확실성’ 그 자체이다. 특히 ‘헌법’ ‘법치’를 강조하면서도 서로에게 유리한 부분만을 끌어다 써 오히려 혼란이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타개할 곳은 국민의 대의기관이자 ‘헌법기관’인 국회와 국회의원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역사적으로 우리 정치는 항상 크고 작은 갈등과 대립이 있어 왔고, 그때마다 이를 조율하고 갈등을 해결한 것은 국회였다”며, “서로 얼굴을 붉힐지언정 국회의원 각자가 물밑에서 이를 조율하고, 합의하려는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고 부연했다. 이어 “국민과 민생을 위해서는 여야나 보수·진보가 나뉠 수가 없다”며, “국민이 살기 힘들다는데 어느 정치인이 이를 외면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철학부재(不在)가 빚은 참극…‘공정과 상식’ 빨리 되찾기를
지난 4일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중장·구속)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중장·구속)이 본인들의 내란 혐의 형사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탄핵심판 핵심 이슈인 ‘체포조 지시’관련 질문에 사실상 진술을 거부했다. 반면 증인으로 참석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직접 지시받았다고 증언했다. 이에 대해 직접 변론에 나선 윤대통령은 “계엄 당일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를 했니 받았니 하는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걸 쫓는 느낌”이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홍 전 차장의 진술에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며 변론했다. 5차례에 걸친 헌재 변론기일에 나온 증인들과 자신에 대한 탄핵심판 변론에 나선 윤 대통령의“계엄은 경고용”이라는 발언, 특히 지난 4차 변론기일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한 게 아니라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