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이 11일 오후 안성시를 방문, 시청 회의실에서 황은성 안성시장을 비롯해 경기도내 구제역 발생 시·군 시장 군수, 도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지역 구제역 현장대책회의’를 가졌다.
맹 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국가적인 재앙인 구제역에 노심초사하는 시·군 공직자, 경찰, 군인 등 관계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위로를 표하고 “조금만 더 방역에 적극적으로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이날 대책회의에는 시·군에선 황은성 안성시장, 김학규 용인시장, 김진홍 화성부시장, 김선기 평택시장, 조병돈 이천시장, 김춘석 여주군수 등이, 도에선 최홍철 경기1부지사와 김정한 농정국장이, 행안부는 장석홍 재난안전실장 참석했다.
이어 김정한 도 농정국장이 도내에서 발생한 구제역 긴급 방역 발생에 대한 보고에서 최근 안성과 여주, 이천지역은 발생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도내에선 1일 4365명의 인력이 동원돼 436개 지역에서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방역초소 근무을 서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철섭 안성부시장은 안성지역 구제역 현황보고에서 구제역 발생 이동제한 거리 8㎞로 완화, 살처분 보상비 조속지급, 긴급수매 실시, 매몰 사후관리 소요예산 30억 지원 등을 건의했다.
이에대해 맹 장관은 “살처분 보상비를 협의해 바로 조치토록 협의해 나가겠다”며 “구제역 발생은 축산농가들의 자세가 중요하다. 선진국의 경우 아예 출입증이 없의면 출입이 제한되는데 우리 현실을 그렇지 못하다며 보다 근원적인 대책을 강구중에 있다”고 대답했다.
이어 가진 토론에서 김진홍 화성부시장은 축산농가중심의 방역시스템 구축시 인센티브 제공, 조병돈 이천시장은 국공유지도 매몰지 허용, 여주 김춘석 시장은 산발적으로 구제역 신고 접수시 매뉴얼이 없어 개선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황은성 안성시장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구제역 발생시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나아가기에 바쁘다. 역학조사 결과에서 감염경로가 파악이 되면 예상로를 차단하면 되는데 그게 안되고 있어 답답하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이날 대책회의에서 시장 군수들은 이구동성으로 구제역에 대한 중앙정부의 홍보부족을 질타했다. 신종플루의 경우 적극적인 홍보로 시민들의 협조가 이뤄졌지만 구제역은 홍보부족으로 축산농가와 시민들간의 갈등이 벌어지고 있어 안타까운 심경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