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세월호특별법과 민생법안의 연계에 대해 여야가 다른 목소리를 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7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이번에 정치가 다시 경제의 발목을 잡으면 20년 전 나왔던 ‘정치는 4류’라는 비난이 다시 정치권을 강타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결국 세월호특별법과 민생법안을 별개로 처리해야 한다는 것을 주문한 것.
김 대표는 “민생경제 현황이 매우 안 좋다. 6월 말 가계부채는 1천40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소득 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가구 비율은 23%로 1년 전 보다 늘었다. 서민층에서는 허리띠를 더 졸라맬 수 없을 만큼 소비를 줄일 여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생에는 당파도, 여야도, 노사도 있을 수 없다”며 “정부가 경제 활성화 정책을 발표하고 국민이 이를 체감할 수 있도록 야당이 세월호 난국에서 벗어나 나라의 미래를 걱정해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 겸 국민공감혁신위원장은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번 주 안에 세월호특별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새누리당을 압박했다.
박 위원장은 “9월 1일부터 정기국회다. 집권여당의 무성의, 무책임, 방관이 국민을 멍들게 하고 있다”며 “새누리당이 국민을 생각하는 집권여당이라면 이번 주 안에 세월호특별법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새누리당은 더 이상 계산하지 말고 즉각 3자협의체에 참여하기 바란다”며 “3자협의체는 야당과 유가족 대표가 충분한 협의를 통해서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이자 불신을 해소할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