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30 (수)

  • 구름조금동두천 7.1℃
  • 맑음강릉 17.3℃
  • 맑음서울 10.3℃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10.8℃
  • 맑음울산 10.0℃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2.7℃
  • 맑음고창 9.5℃
  • 맑음제주 12.6℃
  • 구름많음강화 9.5℃
  • 맑음보은 4.8℃
  • 맑음금산 5.1℃
  • 맑음강진군 6.6℃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9.0℃
기상청 제공

국제

석유와 천연가스 개발 시추 작업이 지진 유발시킨다

URL복사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네팔 대지진으로 최소 36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석유와 천연가스 개발을 위한 시추 작업이 지진을 유발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26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미국 지질연구소(USGS)는 처음으로 미국 중부와 동부에 위치한 10여곳을 표시하며 시추 작업으로 지진이 발생한 지역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추 작업이 활발한 일부 지역의 지진 발생률이 높아졌다"며 "수압파쇄법이 휴면기의 단층을 움직이게 만들고 이는 결국 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수압파쇄법은 퇴적암 틈새에 묻혀 있는 천연가스나 원유를 뽑아낼 수 있는 기술로 물과 모래, 화학약품 등을 섞은 혼합액을 고압으로 분사해 셰일층을 부숴 원유나 천연가스를 추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남은 폐수는 더 깊은 지하 폐수정으로 흘러가게 되고 인근 지진 활동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설명이다.

앞서 USGS는 오클라호마주에서도 수압파쇄법로 인한 지진 발생이 늘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오클라호마주 중부 도시 쿠싱은 현재 미국 내 지진 활동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다.

규모 3.0 이상의 지진 발생 건수는 2008년 2건에서 지난해 585건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올 한 해 동안 오클라호마주에서 규모 3.0 이상의 지진 발생 건수가 800건을 넘어가게 될 것이라는 것이 USGS의 전망이다.

수압파쇄 기술을 사용하는 석유회사들은 약 8700만 배럴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쿠싱 지역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고, 현재 오클라호마주에서는 규모 2.5에 달하는 지진이 매일 한 번 꼴로 발생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에너지 관련 자문을 맡았던 제이슨 보도프 컬럼비아대 글로벌에너지정책센터(CGEP) 소장은 "인력으로 발생하는 지진은 매우 중대한 문제인 동시에 규제 기관과 업계에서 심각하게 다뤄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단층에 분사한 혼합액을 버리기보다는 재활용하거나 시추 과정에서의 모니터링을 강화하면 이러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