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3.9℃
  • 맑음서울 14.3℃
  • 맑음대전 15.6℃
  • 맑음대구 17.4℃
  • 맑음울산 12.9℃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3.4℃
  • 맑음고창 10.7℃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4.7℃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4.1℃
  • 맑음거제 13.7℃
기상청 제공

국제

볼티모어 대규모 흑인 폭동..美 볼티모어 비상사태 선포

URL복사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경찰 구금 중 숨진 흑인 프레디 그레이(25)의 장례식을 계기로 미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28일(현지시간) 대규모 흑인 폭동이 일어났다.

비상사태가 선포되고 도시가 봉쇄될 정도로 볼티모어 시내 현장의 폭동과 약탈이 심해지면서 세탁소와 주류판매점 등 한인들이 운영하는 업소 여러 곳도 피해를 봤다고 현지 한인 언론이 전했다.

그러나 이번 소요가 발생하기 전 한인 업소들이 문을 닫고 대부분 철수해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현지 공관 소식통이 전했다.

미국 언론은 이번 사태가 마틴 루터 킹 목사 암살 직후 일어난 1968년 4월 볼티모어 소요 사태 이후 이 지역에서 일어난 최악의 폭동으로 기록될 것으로 예상했다. 당시 폭동으로 6명이 숨지고 1000여 개 업소가 약탈당했으며 1200여 건의 방화도 발생했었다.

시 당국은 폭력 사태로 현지시간으로 28일 오전까지 34명의 미성년자를 포함해 234명이 경찰에 체포됐고, 20명의 경찰관이 시위 진압 과정에서 부상당했다고 밝혔다.

정확한 재산 피해가 집계되지 않은 가운데 15채의 건물과 150대의 차량이 불에 탄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앞서 주(州) 당국이 비상사태를 선포한 가운데 2000명의 주방위군이 1000명의 경찰과 함께 시청과 경찰서 등 주요 관공서 주변을 밤새 지켰다.

특히 시내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이날 휴교령이 내려졌으며 앞으로 일주일 간 오후 1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야간 통행금지도 실시됐다.

래리 호건 메릴랜드 주지사는 "방위군과 경찰 당국은 폭력과 약탈이 벌어지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다만 전날 약탈과 폭동의 긴장이 채 가시지 않은 가운데 현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시위 현장을 정리하며 도시를 정상화하려는 움직임이 현지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한편 지역 지도자와 전문가들은 흑인 인구가 63%를 차지하는, 인구 62만 명의 도시에서 이 같은 폭력 사태가 일어난 것은 인종차별이나 경찰 폭력에 대한 반발보다는 높은 실업률, 열악한 주거 환경과 교육시설에 대한 불만에 원인이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김형재 시의원,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제한 연임’ 관행 사라진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특별시의회 김형재 의원(국민의힘·강남2)이 서울시 홍보대사의 무분별한 연임 관행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발의한 「서울특별시 홍보대사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 25일 개최된 제330회 서울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가결됐다.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의 효율적인 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차원에서 홍보대사를 무보수 명예직으로 위촉하여 운영해 왔다. 최근 5년간 위촉된 홍보대사만 해도 52명에 달한다. 현행 조례상 홍보대사의 임기는 2년이다. 그러나 연임 횟수에 대한 제한은 따로 없기 때문에 특정인이 장기간 홍보대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이에 따라 서울시 홍보대사직이 관행적으로 연임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김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번 개정안이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가결됨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 홍보대사는 초임 2년을 포함해 최대 6년까지만 활동할 수 있게 됐다. 단 현 임기 중 시정홍보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는 경우에 한해 추가 연임을 허용하는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김형재 의원은 “그동안 서울시는 시정홍보와 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홍보대사를 위촉·운영해 왔지만, 최근 5개년간 위촉된 52명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