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첫 군 출신 중국 대사인 김장수 대사가 중국 유력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지지도 않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 가설을 전제로 한 중국의 의문 제기는 부적절하다고 주장했다.
19일 김 대사는 중국 공산당 기관지의 자매지 환추스바오(環球時報)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대사는 사드 한반도 배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관련해 "사드에 관련해 한국은 어떤 요구도 받지 않았고, 미국 측과 어떤 협상이나 협의를 하지 않았다"면서 "사드 배치라는 가설을 전제로 한 질문에 답변하는 것은 매우 난처한 일"이라고 답했다.
그는 또 사드 문제와 관련된 한국 정부의 입장에는 어떤 변화도 없다는 사실을 재확인하면서 한국 정부는 이 문제와 관련해 중국 측과 더 긴밀한 소통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역설했다.
이어 관련국은 사드가 왜 논란의 중심에 있는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바로 지속적으로 커지는 북한의 핵 위협과 불안해지는 지역 정세라고 주장했다.
김 대사는 또 한·중 관계는 어떤 상황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현재 한·중 양국 관계는 수교 이래 역대 최상의 상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면서 "지도부 간 회동, 경제 무역, 민간 문화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광범위한 교류와 협력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우리는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탁상공론'식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중 양국 관계에 어떤 잠재적인 발전 영역이 남아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외교·안보 영역에서는 북핵 문제에 대한 협력이 남아 있고, 경제협력 영역에서는 인프라, 환경, 기후, 에너지, 의료 등 영역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미국과의 군사동맹 사이에서 한국이 외교적으로 진퇴양난의 처지에 있는 것은 아닌지라는 질문에 관련, 김 대사는 일각에서 한·중 관계와 한·미 동맹을 제로섬으로 보는 주장이 있는데 이 두 가지 관계는 절대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며 한국은 이 두 가지 관계가 조화롭게 발전하는 것을 희망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중 양국이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한·미·중 3개국의 양자, 삼자 관계 발전에 유리하며,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에도 유익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대사는 최근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사드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 이는 북한 외에는 다른 국가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