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올해 서울시 김장비용이 전년 대비 5.8% 상승한 18만7230원으로 전망됐다.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박현출)는 김장 성수기를 앞두고 4~5일까지 마포시장 등 전통시장 50개소, 이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 10개소에서 4인 가족 김장비용을 비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김장비용(18만7230원)은 전년 김장비용(17만6950원) 대비 5.8%(1만280원) 올랐다.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전년 대비 상승한 새우추젓(81%), 깐마늘(30%)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공사는 김장 주재료와 부재료 13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 이용도가 높은 전통시장 18만7230원, 대형 유통업체 21만6940원으로 전통시장이 평균 13.7%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통시장은 대부분의 조사품목이 유통업체보다 쌌다. 특히 쪽파, 미나리. 천일염은 40% 이상, 다발무, 대파, 새우젓은 20% 이상 저렴했다.
쪽파의 경우 유통업체에서는 1단에 400g 내외 소포장 제품을 취급하지만, 전통시장은 1단에 1kg 이상의 흙쪽파를 취급했다. 천일염 역시 유통업체는 3~5kg 소포장 상품을 취급해 10~20kg 포장 단위로 판매하는 전통시장과 가격차이가 발생했다.
올해 배추, 다발무 등 김장 주재료 풍년으로 수입산 반입 유인이 없었다. 그러나 중국산 깐마늘, 고춧가루, 새우젓은 국내산 대비 50% 가량 낮은 가격에 일부 업체에서 판매하고 있었다.
새우젓의 경우 생산량 감소로 인한 가격 상승으로 수입 새우젓 가격 경쟁력이 생겨 중국산 중심으로 반입될 전망이다.
공사는 김장 물가 변동 가능성이 높은 이달 11일, 18일, 25일 3차례 김장비용을 비교 조사해 발표할 예정이다. 다음달 4일까지 홈페이지(www.garak.co.kr)를 통해 김장 주요 성수품 가격지수 및 경락가격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