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지난해 부동산임대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을 중심으로 자영업자가 15만명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의 '자영업(개인사업자) 현황 및 생존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사업자로 등록된 기업은 전년 대비 15만개(3.1%) 증가한 504만6000개로 집계됐다.
업종별 비중은 ▲도소매업 23.8%(120만3000개) ▲부동산임대업 22.3%(112만3000개) ▲숙박·음식점업 15.2%(76만7000개(15.2%) ▲운수업 10.6%(53만4000개) 등의 순이다.
특히 부동산임대업(5만5000개), 숙박·음식점업(3만8000개), 도소매업(1만2000개) 등이 크게 늘면서 자영업자 증가세를 견인했다.
이들 업종은 생존 기간도 다른 업종에 비해 짧았다. 생존기간이 1년 미만 업체 비중은 숙박·음식점업이 22.0%, 도소매업이 14.9%에 달해 1~2위를 차지했다. 반면 10년 이상 생존 업체 비중은 숙박·음식점업이 14.1%, 도소매업은 27.1%에 불과해 전체 평균(29.1%)보다 낮았다.
대표자 연령별로 보면 50대와 60대 이상의 자영업자 수가 크게 늘었다. 60대가 대표자인 업체는 전년 대비 10만5000개(9.6%)나 늘었고, 50대 대표자가 운영하는 업체도 4만1000개(2.6%) 증가했다.
30대 이하는 5000개가 늘고 40대는 1000개가 줄면서 개인사업자 수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지난해 늘어난 자영업자 중 대부분은 매출액 규모 1억원 미만의 영세사업자였다. 매출액 규모별로 보면 5000만원 미만이 5만5000명, 5000만~1억원은 3만3000명씩 증가했다. 매출액 1억원 미만 사업자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1.3%에 달했다.
또 전체 자영업자 중 87.6%는 상용종사자가 없는 '1인 사업자'였다. 2~4인 사업장(8.2%)까지 포함할 경우 종사자 수 5명 미만인 사업자는 전체의 95.8%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