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최종순 기자]인천 제1·2 국제여객터미널 존치와 중구 내항 개방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김홍섭 인천시 중구청장은 자신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이기도 했던 인천내항 재개발사업과 국제여객터미널 중구 존치를 중구의 가장 큰 현안사항으로 거듭 꼽으며 그 중요성을 역설했다. 도심 한복판을 질주하는 화물차량 주거환경 개선 시급인천광역시 중구는 하늘길, 바닷길, 땅길이 시작되는 곳이다. 최초의 서구식 공원인 자유공원이 있고, 자장면이 최초로 만들어진 곳이며, 백년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곳이다. 인천의 명동이라 불렸던 화려한 도시이며 제1·2국제여객터미널 연간 관광객 100만명 이용하는 교통의 요지다. 하지만 지금은 청, 경찰청 등의 이전과 함께 상권이 쇠퇴하고 삶의 질도 떨어지고 있다. 주요도로의 화물차 비율을 살펴보면 주간선도로에서는 중구의 축항대로와 인중로가 화물차의 비율이 각각 42.6%, 40.2%로 가장 높으며, 보조간선도로에서도 중구의 서해대로가 33.2%로 상위권에 위치해 있다.김 중구청장은 “반세기 동안 중구 구민들은 화물차량과 소음, 분진 속에서 고달픈 삶을 살면서 내항 재개발만을 기대하고 있다”며, “화물차 전용도로 등 주민
인천 제1·2 국제여객터미널 존치와 중구 내항 개방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김홍섭 인천시 중구청장은 자신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이기도 했던 인천내항 재개발사업과 국제여객터미널 중구 존치를 중구의 가장 큰 현안사항으로 거듭 꼽으며 그 중요성을 역설했다. 도심 한복판을 질주하는 화물차량. 주거환경 개선 시급인천광역시 중구는 하늘길, 바닷길, 땅길이 시작되는 곳이다. 최초의 서구식 공원인 자유공원이 있고, 자장면이 최초로 만들어진 곳이며, 백년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곳이다. 인천의 명동이라 불렸던 화려한 도시이며 제1·2국제여객터미널 연간 관광객 100만명 이용하는 교통의 요지다. 하지만 지금은 청, 경찰청 등의 이전과 함께 상권이 쇠퇴하고 삶의 질도 떨어지고 있다. 주요도로의 화물차 비율을 살펴보면 주간선도로에서는 중구의 축항대로와 인중로가 화물차의 비율이 각각 42.6%, 40.2%로 가장 높으며, 보조간선도로에서도 중구의 서해대로가 33.2%로 상위권에 위치해 있다.김 중구청장은 “반세기 동안 중구 구민들은 화물차량과 소음, 분진 속에서 고달픈 삶을 살면서 내항 재개발만을 기대하고 있다”며, “화물차 전용도로 등 주민 주거환경 개선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