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1.1℃
  • 맑음강릉 8.7℃
  • 맑음서울 14.3℃
  • 구름많음대전 15.9℃
  • 흐림대구 12.3℃
  • 박무울산 10.3℃
  • 흐림광주 17.4℃
  • 흐림부산 12.9℃
  • 흐림고창 14.9℃
  • 흐림제주 17.0℃
  • 구름조금강화 12.6℃
  • 흐림보은 11.8℃
  • 흐림금산 13.9℃
  • 흐림강진군 14.9℃
  • 흐림경주시 9.9℃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사회

연봉협상 시 제일 많이 하는 거짓말

URL복사
인크루트가 운영하는 연봉전문사이트 오픈샐러리는 리서치 전문기관 엠브레인과 함께 연봉협상 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해 행하는 거짓말이나 과장된 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직장인 2천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전체의 25.2%(569명)가 연봉협상 테이블에서 거짓말이나 사실을 과장해서 말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명 중 1명 꼴이다.
그럼 직장인들은 주로 어떤 거짓말과 과장된 얘기를 하는 걸까. 연봉협상 시 거짓말이나 과장된 얘기를 해 본적 있다는 직장인들에게 무슨 얘기를 했는지 직접 물어 많이 나온 응답을 1위부터 10위까지 정리했다.
역시 연초 세웠던 업무목표의 달성에 대한 거짓말, 과장이 가장 많았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거나, 겨우 달성했는데) 목표 초과 달성 했습니다’(12.3%)라고 얘기했다는 것. 결국 성과지향적일 수 밖에 없는 기업의 특성을 꿰뚫고 최대한 목표달성 정도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한 경우다.
▶‘(여럿이 같이 한 일을) 그거 사실 제가 다 한 겁니다’(10.7%)가 두번째로 많이 꼽혔다. 함께 일한 동료에 대한 미안함과 민망함을 무릅쓰고 공동 작업의 결과를 자신의 업적으로 돌려버렸다는 것.
▶‘(할 줄 몰라도) 그 업무 저도 할 줄 압니다’(9.7%), ▶‘(해내기 힘든데) 연봉 올려주시면 꼭 해 내겠습니다(8.6%)’ 등 본래 자신의 능력보다 과대 포장해서 앞으로의 성과에 대해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불만을 토로하거나 신세한탄 하듯 ▶‘(업무량 많지 않은데) 이렇게 일 많이 하고 이런 연봉 받는 사람 저 밖에 없습니다’(6.5%)라고 말하는 직장인도 꽤 있었다. 적은 연봉에 힘들게 일한 걸 알아달라는 얘기다.
과감하게 승부수(?)를 던지기도 했다 ▶‘저 없으면 여기 안 돌아 갑니다’(5.6%)’라며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하거나 ▶‘(그만둘 마음 없는데) 제 가치를 인정 안 해 준다면 사표 쓰겠습니다’(3.7%)라며 으름장을 놓는 경우가 그것.
▶‘연봉 더 주겠다며 경쟁사에서 스카우트 제의 오고 있습니다’(3.5%)란 응답도 적지 않았다. 올려주지 않으면 경쟁사로 이직을 감행할 수 있다며 회사의 입장을 떠 보는 것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