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13.6℃
  • 맑음강릉 10.6℃
  • 구름조금서울 15.9℃
  • 구름조금대전 16.3℃
  • 흐림대구 13.3℃
  • 흐림울산 11.9℃
  • 흐림광주 18.1℃
  • 흐림부산 13.2℃
  • 흐림고창 14.6℃
  • 구름많음제주 18.1℃
  • 구름많음강화 12.0℃
  • 흐림보은 14.9℃
  • 흐림금산 16.4℃
  • 흐림강진군 14.3℃
  • 흐림경주시 12.6℃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경제

카드경쟁 다시 불 붙었다

URL복사
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2003년 카드대란 이후 잠잠했던 신용카드 시장이 다시 뜨거워지면서 신용카드 모집인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국민 1인당 3.7장씩 카드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신용카드사가 새 회원을 확보하려다 보니 모집인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신용카드 모집인 수는 지난해 말 현재 4만6675명으로, 2006년 말 2만8407명보다 1만8268명이나 늘어났다. 증가율은 무려 64%에 이른다. 신용카드 영업전선의 돌격대 역할을 하는 신용카드 모집인은 2002년에는 8만7733명에 달했다. 그러나 카드대란 이후 급감해 2003년 1만7021명, 2004년 1만6783명까지 줄었다. 이후 2005년 2만2755명, 2006년 2만8407명으로 횡보를 하다가 2007년부터 다시 불어나고 있다.
카드 모집인이 크게 늘어난 이유는 카드대란 때 입은 부실을 지난해 완전히 해소하고 막대한 수익을 거둔 후 또다시 외형 확대 경쟁을 벌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특히 신한·우리카드 등 은행계 카드사들이 카드 모집인을 통한 영업을 크게 강화하고 있다. 은행 창구에서도 카드 가입을 유도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어 막대한 자금력을 동원, 카드 모집인을 대거 뽑고 있다. 이 때문에 은행계 카드사의 모집인은 2006년 말 4700여명에서 지난해 말 1만1000여명으로 87%나 늘어났다. 카드 모집인을 동원한 영업 경쟁은 올해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우리은행은 현재 32개인 모집인·카드설계사 조직을 올해 안에 50개로 늘릴 방침이다. 하나은행과 농협도 카드 모집인을 대거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카드 모집인을 동원한 회원 확보 경쟁은 다시 카드사 부실 사태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신용카드사는 이에 대해 “건전성 관리를 크게 강화해 연체율도 낮고 부실 가능성도 낮다”고 자신하고 있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카드 모집인에게 주어지는 수당 등은 결국 카드 회원들로부터 나온 돈”이라며 “회원을 뺏고 빼앗기는 비생산적 경쟁에 돈을 쓰다 보면 결국 경영 건전성도 그만큼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