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7.0℃
  • 구름많음강릉 12.4℃
  • 서울 19.9℃
  • 흐림대전 25.4℃
  • 구름조금대구 26.3℃
  • 구름많음울산 23.4℃
  • 구름많음광주 25.6℃
  • 구름많음부산 20.6℃
  • 구름많음고창 23.9℃
  • 구름조금제주 22.9℃
  • 흐림강화 11.5℃
  • 구름많음보은 26.6℃
  • 구름많음금산 25.5℃
  • 구름많음강진군 23.6℃
  • 구름많음경주시 27.0℃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경제

실물경제 타격 없는 코스피 추락, 왜?

URL복사

10월에만 11% 급락… 외국인 매도세 지속
“전망 어둡지만 2000선 붕괴 어려울 것”


[시사뉴스 조아라 기자] 코스피가 연일 최저치를 보이며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외국인의 ‘셀 코리아(Sell Korea)가 지속되며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기간 동안 11% 이상 급락한 것. 코스피 2100선이 붕괴된 데 이어 2000선마저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2000선 붕괴까지 가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2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4.28포인트(1.63%) 내린 2063.30을 기록했다. 이는 종가 기준 2045.12에 거래를 마감했던 지난해 1월10일 이후 21개월 만에 최저치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50.91포인트(2.43%) 내린 2046.67에 출발해 장중 한때 2033.81까지 급락하며 연중 최저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오현석 삼성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최근 불거진 이탈리아 재정 관련 리스크부터 미국 통화 긴축,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여기에 한국시장은 외국인 이탈까지 있지만 대부분 이전부터 미쳐온 악재”라며 “시장 참여자들이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아 추가 하락 가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다. 밸류에이션이나 기초체력으로 보면 눈에 보이는 악재는 가격이 반영됐음에도 투자자들이 공포감에 사로잡혀 구분 없이 팔고 있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


이날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3625억원·2809억원을 팔고, 기관은 6315억원을 순매수했다. 이달 들어 외국인이 코스피 시장에서 매도한 물량은 3조6142억원에 달한다. 특히, 코스피 시가총액의 경우 지난달 말(1567조6000억원)보다 11.89%(185조2810억원) 줄어든 1381조2190억원을 기록했다.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하락폭이 가장 큰 업종은 운수장비로 3.76% 떨어졌다. 이어 △전기전자(-3.08%) △종이목재(-3.01%) △섬유의복(-2.88%) △서비스업(-2.62%) △유통업(-2.47%) △기계(-2.24%) 등이 약세로 마감했다. 반면 △전기가스업(2.27%) △화학(0.94%) △통신업(0.65%) △비금속광물(0.09%) 등은 소폭 올랐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전 거래일보다 1550원(3.64%) 내린 4만1000원에 거래를 마쳤고 △SK하이닉스(-3.00%) △삼성바이오로직스(-2.86%) △현대차(-5.98%) △포스코(-0.56%)가 부진했다. △셀트리온(4.88%) △LG화학(2.72%) △SK텔레콤(1.80%) 등은 올랐다.



“불안한 상황 지속되나 금융위기 정도 아냐”


전문가들은 향후 코스피의 움직임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하면서도 코스피 2000선 붕괴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외 변수로 투자 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외국인의 매도가 지속돼 2100선이 무너졌지만 실물 경제에 타격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위축된 투자심리 만으로 2000선이 붕괴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중 무역 갈등이 생각보다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 심리가 부정적으로 형성된 것”이라며 “국내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두 국가가 무역 마찰을 겪으면서 국내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금리 격차와 더불어 환율 문제가 작용해 외국인이 이탈하고 있는데 국내 기관, 개인들도 외국인 매도 수급을 받아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신흥국 시장 전체가 부진하다. 미국 경제가 둔화된다면 신흥국 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국 증시 특징은 해외 시장에 대한 개방정도가 크다는 것인데 해외 유동성 환경이 좋을 때는 제일 큰 수혜를 보지만, 나쁠 때는 반대의 영향을 받는다”며 “미국이 부러지니 외국인이 코스피에서도 이탈했던 것이고 해외시장 주가가 빠지면 한국도 자유롭기 어렵다. 미국은 이제 갓 빠지기 시작하는 장이라는 게 걸린다”고 우려했다.


최석원 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우리 정부가 SOC(사회간접자본) 건설 활성화 등 낮은 성장률 전망을 깨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면 이를 토대로 코스피가 반등할 여지는 있지만, 전체 흐름을 보면 미국 금리 인상과 강달러 등으로 외국인 유출이 이어져 단기적으로 불안한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외국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낙폭이 확대되고 있다”며 “금융위기 당시에는 실물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현재 금융시장은 그 정도의 상황은 아니다”라고 분석했다.


한편, 전날 미국 뉴욕증시는 미중 무역 전쟁을 배경으로 AT&T 등 미국 주요 기업이 기대 못 미치는 3분기 실적을 기록하자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25일 아시아 각국의 주식시장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2만1268.73으로 전일 종가보다 822.45포인트(-3.72%) 폭락했고, 대만 가권지수는 238.61포인트(-2.44%) 감소한 9520.79를 기록했다. 중국 상하이지수의 경우 전 거래일보다 62.36포인트(-2.39%) 급락한 2540.93에 장을 시작했으나 0.51포인트 오른 2603.80에 장을 마쳤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