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CJ대한통운이 기존 물류연구소를 'TES물류기술연구소’로 변경하면서 물류센터 설계와 수배송 경로 최적화, 운영 최적회 등 언택트 비즈니스와 라스트마일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CJ대한통운은 22일 자사의 기존 물류연구소를 TES물류기술연구소로 변경,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TES는 T(Technology), E(Engineering), S(System & Solution)의 약자로, CJ대한통운이 글로벌 물류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미래가치에 대한 회사의 의지를 담았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라스트마일 서비스 언택트(Untact) 비즈니스의 급성장과 함께 물류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AI(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지능형로봇, 웨어러블 장비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이 속속 현장에 도입되고 있어 첨단화를 위해 조직개편을 하고 있다" 밝혔다.
2013년 설립된 기존 물류연구소에서 TES물류기술연구소로 변경된 새로운 연구소는 앞으로 언택트 비즈니스와 라스트마일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컨설팅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물류센터 최적화 설계, 수배송 경로 최적화 등을 담당하는 운영최적화 부문, 국내 최대 물류 빅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에게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빅데이터분석 부문도 연구소의 중요한 자원이 될 전망이다.
실제 빅데이터분석 부문은 최근 ‘코로나19 택배 물동량 변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택배가 사재기를 막았다”는 가설적 주장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었다.
TES물류기술연구소는 2019년 전체 택배물동량 분석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다양한 트렌드 변화를 추적하는 ‘일상생활리포트’를 조만간 발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4차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업종간, 지역간 구분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광범위한 영역에서 물류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며 “TES물류기술연구소의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성장을 주도하는 한편 고객들에게 첨단기술로 인정받는 글로벌 물류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