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9.5℃
  • 구름많음강릉 10.0℃
  • 박무서울 10.2℃
  • 안개대전 13.8℃
  • 흐림대구 17.3℃
  • 흐림울산 12.3℃
  • 광주 16.6℃
  • 부산 14.8℃
  • 구름많음고창 13.1℃
  • 구름조금제주 17.0℃
  • 맑음강화 8.4℃
  • 구름많음보은 14.8℃
  • 흐림금산 15.2℃
  • 흐림강진군 17.4℃
  • 구름많음경주시 11.9℃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경제

근무시간 OECD '최고' 임금 '최하'

URL복사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연간 2천시간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절대적 임금 수준은 OECD 평균의 60% 수준에 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일한 시간에 비해 벌이는 시원찮은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기획재정부와 OEC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5인 이상 사업장)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지난해 기준 2천261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긴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1983년 2천714시간, 1994년 2천453시간, 2003년 2천378시간, 2004년 2천366시간, 2005년 2천341시간, 2006년 2천294시간 등으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2천시간을 넘었다.
이러한 근로시간은 다른 회원국들에 비해 최소 200시간, 최대 900시간 가량 많은 것으로 우리나라에 이어 폴란드(1천953시간), 슬로바키아(1천947시간), 체코(1천914시간), 아이슬란드(1천822시간), 일본(1천808시간) 등도 연간 근로시간이 1천800시간이 넘어 비교적 노동강도가 센 나라로 분류됐다. 이어 미국(1천798시간), 그리스(1천783시간), 헝가리(1천780시간), 캐나다(1천733시간), 포르투갈(1천675시간), 영국(1천655시간), 스페인(1천621시간), 룩셈부르크(1천541시간)의 근로자들은 연간 1천500시간 이상 일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스트리아(1천474시간), 벨기에(1천461시간), 프랑스(1천457시간), 독일(1천353시간)의 근로자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근로시간이 짧았다. 이처럼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길지만 임금은 회원국 평균에도 못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노동강도에 비해 임금 수준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내내 풀타임(full-time)으로 고용 상태를 유지한 근로자를 기준으로 1인당 평균 임금은 2006년 우리나라가 연 2만5천379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3만9천743달러)의 64%에 불과했다.
스위스(6만384달러)가 회원국 중 유일하게 6만달러가 넘었고, 룩셈부르크(5만9천638달러), 노르웨이(5만6천629달러), 덴마크(5만6천598달러), 아일랜드(5만5천985달러)의 풀타임 근로자 평균 임금도 5만달러 이상으로 집계됐다.
미국(4만7천688달러), 영국(4만7천248달러), 벨기에(4만5천401달러), 네덜란드(4만5천337달러), 스웨덴(4만86달러) 등은 4만달러 이상이었고, 핀란드(3만9천891달러), 프랑스(3만9천868달러), 독일(3만8천626달러), 일본(3만6천601달러), 이탈리아(3만1천995달러)의 근로자들도 연간 3만달러 이상의 임금을 받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