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연간 2천시간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절대적 임금 수준은 OECD 평균의 60% 수준에 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일한 시간에 비해 벌이는 시원찮은 것으로 분석됐다.
21일 기획재정부와 OECD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5인 이상 사업장)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지난해 기준 2천261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긴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연 평균 근로시간은 1983년 2천714시간, 1994년 2천453시간, 2003년 2천378시간, 2004년 2천366시간, 2005년 2천341시간, 2006년 2천294시간 등으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2천시간을 넘었다.
이러한 근로시간은 다른 회원국들에 비해 최소 200시간, 최대 900시간 가량 많은 것으로 우리나라에 이어 폴란드(1천953시간), 슬로바키아(1천947시간), 체코(1천914시간), 아이슬란드(1천822시간), 일본(1천808시간) 등도 연간 근로시간이 1천800시간이 넘어 비교적 노동강도가 센 나라로 분류됐다. 이어 미국(1천798시간), 그리스(1천783시간), 헝가리(1천780시간), 캐나다(1천733시간), 포르투갈(1천675시간), 영국(1천655시간), 스페인(1천621시간), 룩셈부르크(1천541시간)의 근로자들은 연간 1천500시간 이상 일을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스트리아(1천474시간), 벨기에(1천461시간), 프랑스(1천457시간), 독일(1천353시간)의 근로자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근로시간이 짧았다. 이처럼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은 OECD 회원국 중에서도 가장 길지만 임금은 회원국 평균에도 못미치면서 하위권으로 분류돼 노동강도에 비해 임금 수준은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내내 풀타임(full-time)으로 고용 상태를 유지한 근로자를 기준으로 1인당 평균 임금은 2006년 우리나라가 연 2만5천379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3만9천743달러)의 64%에 불과했다.
스위스(6만384달러)가 회원국 중 유일하게 6만달러가 넘었고, 룩셈부르크(5만9천638달러), 노르웨이(5만6천629달러), 덴마크(5만6천598달러), 아일랜드(5만5천985달러)의 풀타임 근로자 평균 임금도 5만달러 이상으로 집계됐다.
미국(4만7천688달러), 영국(4만7천248달러), 벨기에(4만5천401달러), 네덜란드(4만5천337달러), 스웨덴(4만86달러) 등은 4만달러 이상이었고, 핀란드(3만9천891달러), 프랑스(3만9천868달러), 독일(3만8천626달러), 일본(3만6천601달러), 이탈리아(3만1천995달러)의 근로자들도 연간 3만달러 이상의 임금을 받았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