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65세 이상 노인 3명 중 2명은 자녀와 따로 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 45세 이상 만65세 미만의 저소득 장년층은 20%만 노후준비를 하고 있어 노후생활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질 전망이다.
국토연구원은 국토해양부의 의뢰받아 노인가구 가구주(9,724명), 노인개인(9,724명), 시설거주노인(1,000명), 장년가구 가구주(5,087명) 등 전국2만5535명을 대상으로 한 ‘2007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특정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특수조사로 노인, 노인가구에 초점을 맞췄다. 조사기간은 지난해 10월 11일 ~ 12월 31일까지다. 조사결과 만65세 이상 노인 중 대부분(67.1%)은 자녀와의 동거를 희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 가까운 거리에서 따로 살겠다는 경우는 27.7%였고 거리와 상관없이 따로 거주하겠다는 노인은 39.4%에 달했다.
이와 달리 동거하겠다는 응답은 24.1%였고, 혼자되거나(1.1%), 건강이 나빠질 경우(5.3%) 등 조건부 동거를 희망하는 노인은 7.4%였다.
만65세 미만 장년층은 자녀와 따로 살고 싶다는 비율이 82%에 달해 세대가 바뀔수록 이러한 경향을 더욱 짙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자녀와 동거하고 있는 노인의 비율은 30.7%에 불과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이 40.9%로 가장 높았고, 광역시(30.1%), 도지역(21.8%) 순이었다. 동거하지 않더라고 같은 행정구역내 사는 경우는 45.1%로 높게 나왔다.
노인이 포함된 노인가구중 자기소유 집인 경우는 전국 72.9%로 일반가구(55.6%), 장년가구(62.8%)보다 높았다. 특히 집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도지역에서의 자가점유율(83.2%)이 높게 나타났다.
노인가구는 61.8%가 단독주택에 거주하고 있어 이 비율 역시 일반가구(44.5%)와 장년가구(41.2%)에 비해 높았다. 장년가구는 아파트 거주 경우가 44.2%로 가장 많았다. 장년층에게 ‘경제적으로 노후준비를 하느냐’는 질문에는 고소득층(월소득 310만원 초과)은 77%가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런 응답은 중소득층(150만원 초과 ~ 310만원 이하)으로 가면 47.4%로 떨어지고, 이보다 경제상황이 여의치 않은 저소득층(154만원 이하)은 겨우 21.1%에 그쳤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