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교육부는 22일 학업 성취도 평가 확대가 '줄세우기식 일제고사 부활'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데 대해 일제고사 부활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이날 오후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학업 성취도 평가가 일제고사로 가지 않도록 교육부가 관여해야 한다'는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6월14일 발표한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확대 시행'에서 매년 중3과 고2의 3%만 표집 평가하던 학업 성취도 평가의 대상을 오는 2024년부터 초3~고2로 확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우려되는 학생들의 기초 학력을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율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교육부 발표 이후 학업 성취도 평가를 관내 모든 학교에서 시행하기로 결정한 시·도 교육청이 늘면서 사실상 강제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부산시교육청은 당초 자율적으로 신청하도록 했던 학업 성취도 평가를 지난 10일 관내 모든 초·중·고교가 필수 신청하도록 지침을 변경해 각 학교에 공문을 보냈다.
이에 앞서 지난 8일에는 강원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학업 성취도 평가를 오는 11월부터 초4~중3을 대상으로 관내 모든 학교에서 치를 예정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부산과 강원은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교육감이 6·1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곳으로, 이들 교육감은 선거 당시 학업 성취도 평가를 전면 강화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장 차관은 "학업 성취도 평가는 자율적인 참여 기반으로 강제는 아니다"라며 "또 성취 수준에 대한 분석이나 결과를 학생들에게 피드백하기 위한 목적이지, 어느 학교가 잘하는지 판별하기 위한 목표는 결코 아니다"라고 했다.
그는 또 참여 대상 확대와 관련해서도 "학업 성취도 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을 확대하겠다는 것이지, 전체가 그 안에 들어와 의무적으로 보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업 성취도 평가가 일제고사 부활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했다.
장 차관은 '대선 당시 윤석열 캠프 공약에 일제고사 부활을 의미하는 내용이 있었는데 일제고사 부활이 아니라는 얘기냐'는 유기홍 교육위원장 질의에 "맞다"며 "자율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평가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