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화재 위험이 높아지는 11월~2월을 ‘겨울철 소방안전 중점 추진기간’으로 정하고 선제적 화재예방 안전대책을 추진한다.
27일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겨울철(11월~2월)에 발생한 화재는 5273건으로 전체 기간 발생한 총 화재(1만5920건)의 33.1%를 차지했다.

3년간 겨울철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53명으로 전체 화재 사망자(111명)의 47.7%에 이른다. 이중 31명은 화재 발생장소 1위인 주거시설에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재난본부는 이와 같은 겨울철 화재 피해 특성을 반영해 화재 인명피해 저감을 핵심 목표로 4개월 간 4개 전략 12개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4개 전략은 ▲복합건축물 등 화재예방 강화 ▲주택화재 인명피해 예방 최우선 ▲재난약자 안전 강화를 위한 예방대책 ▲시민공감 예방 홍보활동 전개 등이다.
겨울철 화재 위험성이 높아지는 전통시장 등은 화재예방 협의체·자율소방대의 안전관리 강화를 유도하고 소방특별조사를 통해 화재안전 관리계획 이행 등을 확인·개선할 계획이다.
많은 시민이 이용하는 지하연계복합 건축물 등 183개소에 대해서는 소방안전 컨설팅과 함께 시설 관리자 등의 재난대응역량이 강화되도록 민관 합동 훈련을 진행한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지하주차장, 지하층 업무시설 등에는 대형 피난구 유도등, 축광식 피난안내선 등 설치와 대피 안내도 부착을 확대하도록 할 방침이다.
화재 발생이 가장 많았던 주택에서의 인명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는 스프링클러가 미설치된 노후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대한 소방안전 컨설팅 등이 실시된다.
특히 대피 통로가 좁은 반지하 주택 화재예방을 위해 주택용 소방시설 2500개를 무상으로 보급할 예정이다.
재난약자의 안전 강화를 목적으로 쪽방, 고시원, 주거용 비닐하우스 등 화재취약 주거시설 관계기관 합동점검도 진행한다.
이와 더불어 요양병원 등 피난약자시설의 안전관리 체계도 강화할 방침이다.
최태영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겨울철을 앞두고 소방안전대책을 추진해 대형화재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특히 인명 피해 저감을 위해 현장 중심의 행정을 적극 전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