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 정찰풍선과 미확인 물체 격추 사태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히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전해졌다.
바이든 대통령이 조만간 중국 정찰풍선과 미확인 고고도 물체 격추 사태에 대해 직접 설명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15일(현지시간) CNN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초 바이든 대통령은 추가로 격추된 세 개의 미확인 물체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확보될 때까지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을 꺼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공화당을 중심으로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 정찰풍선과 미확인 물체 격추 사태에 대해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압박이 커지고 있어 연설 검토에 들어간 것이다.
공화당은 첫 번째 중국 정찰풍선이 미 동부에 도달할 때까지 백악관이 격추를 승인하지 않은 점에 대해 비판을 이어가며 바이든 대통령의 늑장 대응 논란을 키웠다.
최근 3건의 미확인물체 격추 이후에도 백악관이 자세한 해명을 내놓지 않아 해당 물체의 정체와 출처 등에 대해 의문과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지난 13일 백악관 공보관이 "외계인이나 외계 비행체의 지구 활동이라는 증거는 없다"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미주리 주립대학교의 브라이언 오트 정보통신학과 교수는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 정찰풍선과 3개의 미확인물체 격추 사태에 대해 말을 아끼는 것은 차기 대선 재출마를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존 코닌(텍사스) 공화당 상원의원은 15일 기자들에게 "마구 퍼지는 낭설을 막으려면 백악관이 격추된 물체에 대해 좀 더 투명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3개의 미확인물체를 신속히 격추한 게 정치적 압력에 따른 것이라는 비판에 대해 "순전히 미국민의 이익에 근거한 결정"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