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16일 도쿄(東京)에서 열리는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역사 문제에 대한 새로운 사죄 대신 역대 내각의 입장을 계승할 방침이라고 지지통신이 12일 보도했다.
통신은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역사 인식과 관련해 새로운 사죄의 말은 사용하지 않고, 1998년 일한(한일) 공동선언 등 역대 내각이 제시한 입장 계승을 표명하는 데 그칠 의향"이라고 전했다.
통신은 기시다 총리가 한일 공동 선언에 "식민 지배에 대한 사죄와 함께 '미래 지향'을 명기하고 있어 일한 관계 기반으로서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일본 국내 보수파에 대한 배려도 배경에 있다"고 전했다.
또한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 후 공동 기자회견 발표, 저녁 만찬 등을 조율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앞서 6일 한국 정부는 이른바 제3자 변제안인 강제징용 해법을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자국 입장을 배려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기시다 총리는 "일한 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리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했다. 1998년 김대중-오부치 한일 공동선언을 언급하며 "역대 내각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사죄나 반성 등의 표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 일본 외무성의 한 간부는 "이번(한일 정상회담)에는 사죄보다도 긍정적인 관계 구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신은 기시다 총리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당시 외무상으로서 관여했던 점을 거론하며 "이번에 (기시다 총리가) 기존 입장을 답습하는 데 그치는 것은 다시 사죄를 표명해 미래지향을 내세우더라도, 다시 한국 측이 뒤집을 가능성을 우려해서다"고 전했다.
집권 자민당의 보수계 의원은 통신에 "다시 한번 배신당한다면 기시다 내각은 끝난다"고 경계했다.
통신은 일본 측 사정을 윤 정권도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며 한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 "(이번 한일 정상회담은) 대북 협력과 투자 활성화, 인적 교류 확대를 어필하는 자리로 하는 게 좋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