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일본 농림수산성이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를 업무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일본 정부 부처들도 활용 검토에 속도가 붙고 있다. 일본은 주요 7개국(G7) 회의에서도 AI 논의를 주도할 생각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경제산업상은 21일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향후 챗GPT를 이용한 국회 답변 작성에 활용할 가능성에 대해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하는 데 있어서, 미래에 AI는 유력한 보조 툴(도구)가 될 수 있다"며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니시무라 경제산업상은 국회 답변 방안을 부처 직원이 작성할 때, 챗GPT를 이용한다면 과거 회의록 등을 참고하는 작업 효율화로 연결될 수 있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그는 "오래된 정보와 잘못된 정보가 있기 때문에 아직 사용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국회 답변 작성 때 AI를 활용한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각료나 직원의 확인 작업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국회 경시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마쓰모토 다케아키(松本剛明) 총무상도 "AI 활용을 위한 업무 검토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정보 취급에 유의하며 우선 시도 차원에서 이용하겠다"고 설명했다.
마쓰모토 총무상은 "구체적인 검토에 돌입하지 않았으나 유효성과 리스크에 대해 정보를 수집하겠다"고 말했다.
사이토 데쓰오(斉藤鉄夫) 국토교통상은 "만능 기술은 없다. 잘 이해한 후에 사용하지 않으면 폐해도 많다"고 다소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러면서도 "디지털을 활용한 업무 효율화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후생노동상은 21일 기자회견에서 챗GPT를 "(개인적으로) 사용해본 적이 있다. 내 정부 일에 사용할 수 있지 않겠느냐 하는 실감이 있다"고 사용 감상을 밝혔다.
가토 후생노동상은 "행정 분야에서 활용하면 업무 부담 경감으로 연결되지 않겠느냐"고 사용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기밀 정보 취급 부분에서의 안보 확보, 프라이버시, 저작권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후생노동성으로서 아직 구체적인 것은 없으나 장점·단점을 인식하고 어떤 대응 방법이 있는지 후생노동성 내에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첫 정부 챗GPT 활용은 농림수산성이 실시할 전망이다.
농림수산성은 공식 웹 홈페이지 개정 작업에 챗GPT 활용을 검토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이달 중 도입할 방침이다.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일본 정부 중앙 부터에서 챗GPT를 업무에 사용하는 것은 처음이다.
구체적으로 농림수산성의 공통신청 서비스 'eMAFF'에 활용한다. 보조금 신청 등 부처의 5000건 이상 행정 절차 문서 작성 등에 챗GPT를 활용할 생각이다.
제도 변경 등으로 연간 수천페이지 이상의 개정 작업이 발생하고 있어, 업무 효율화를 꾀한다.
농림수산성은 이달 중 시범 도입한 후 앞으로 다른 업무로 확대할 생각이다.
인공지능(AI) 챗봇 '챗(Chat)GPT'을 개발한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알트먼은 이달 10일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를 접견했다.
알트먼 CEO는 면담 후 기자들에게 기시다 총리와의 논의가 훌륭했다며 "일본에서 (챗GPT의) 이 기술이 응용되고 있는 것은 점은 훌륭하다. (관련 기술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했다"고 밝혔다.
그는 "기술에 관한 플러스(긍정적인) 면, 마이너스(부정적인) 면을 어떻게 경감해 가느냐에 대해 대화했다"고 말했다.
알트먼 CEO는 기자들에게 "일본어를 활용해 일본의 여러분들에게 무엇인가 훌륭한 것을 제공하겠다"며 일본 시장 진출 생각을 밝혔다.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기술적으로도 정책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챗GPT 개발자와 협력을 꾀하는 일본 정부는 주요 7개국(G7)에서의 논의도 주도한다. 일본은 올해 G7 의장국이다.
이달 29~30일 일본 군마(群馬)현 다카사키(高崎)시에서 열리는 G7 디지털·기술 장관회의 공동성명에는 '책임있는 인공지능(AI)' 실현을 위한 행동계획 채택이 담긴다고 요미우리 신문이 보도했다.
최근 개인정보 유출 문제,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AI 등을 염두에 두고 G7 협력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을 확인한다.
G7이 AI 행동 계획을 채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AI 가능성과 위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다.
그러면서도 생성형 AI에 대해 '잠재적인 영향력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가속화 할 방침을 확인한다. AI가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의 분석을 참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