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WHO는 지난 5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해제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는 지난 2020년 1월 비상사태가 선언된 후 전 세계적으로 약 7억6400만 건의 확진자가 발생했고 약 50억 명의 사람들이 최소 1회 이상의 백신을 접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약 3년4개월 만에 코로나19에 대한 비상사태를 해제하고 사실상 '엔데믹'(풍토병화)을 선언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감염병 위기단계 완화, 확진자 격리 기간 단축 등 일상회복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방역 당국은 향후 또 다른 신종감염병으로 인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대비해 대유행 발생 100~200일 내에 백신·치료제를 개발하고 일일 확진자 100만 명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등 중장기계획을 세우는 작업에 돌입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비상사태 해제를 선언하며 "백신 접종과 감염으로 인해 인구 면역력이 증가하는 등 1년 이상 하향 추세"라며 대부분의 국가가 코로나19 이전에 알고 있던 삶으로 돌아갈 수 있게 했으며 이는 팬데믹의 최악의 부분이 끝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유를 설했다.
미국과 일본 등 해외 주요국가도 코로나19를 풍토병처럼 관리하는 움직임을 시작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0일 코로나19 팬데믹 공중보건 비상사태 종료를 선언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의 법정 감염병 등급을 '2류 상당'에서 '5류'로 낮추기로 했고 오는 9일부터는 코로나19 확진자 집계도 주간 집계로 바꾸기로 했다.
우리 방역 당국도 WHO의 비상사태 해제에 보조를 맞춰 코로나19 일상회복을 본격 추진할 전망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전날 "이번 WHO 긴급위원회 결과 및 국내외 유행 현황, 국내 방역·의료대응 역량, 주요국 정책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전문가 자문과 위기평가회의를 거쳐 국내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 조정 방안을 신속히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일상회복 로드맵을 살펴보면 1단계로 감염병 위기단계는 현재 최고단계인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한다. 국무총리가 본부장으로서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주도해왔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해체되며, 보건복지부 장관이 본부장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총괄하게 된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기간은 현행 7일에서 5일로 단축된다.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는 운영이 중단되며 입국 후 3일 이내에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권고하는 검역 조치도 종료된다. 휴일을 제외하고 거의 매일 발표하던 통계도 주간 단위로 바뀐다.
방역 당국은 향후 올 여름에도 코로나19 유행이 안정적으로 관리되면 2단계 조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 경우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떨어지며, 병원 등 고위험시설에 일부 남아있는 마스크 의무, 확진자 격리 의무가 모두 권고로 전환된다. 보건소 선별진료소가 종료되며 확진자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 지원도 전면 종료된다.
방역 당국은 올해 코로나19를 일반적인 의료대응체계로 관리하기로 결정하더라도 다음 팬데믹 가능성이 있는 미지의 신종 감염병, 즉 '질병 X'(Disease X) 대비에 착수했다.
2000년대 들어 2003년 사스(SARS) 유행 후 6년 뒤인 2009년 신종플루, 다시 6년 뒤인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해 신종감염병 팬데믹 사태를 맞았다. 코로나19는 4년 뒤인 2019년 발생해 주기가 점차 짧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기후변화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이동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향후 신종 감염병 팬데믹 주기는 더 짧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 공청회를 열고 ▲감시예방 ▲대비·대응 ▲회복 ▲기반구축 ▲연구개발 등 신종 감염병 대비 5개 분야 10대 핵심과제를 담았다. 질병청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친 후 최종 확정된 중장기계획을 이달 중 공개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감염병에 대한 조기진단 기술 및 역량을 높여 30일 내에 감염병 특성을 분석하고 진단법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하수·오수를 통한 감염병 감시도 강화한다.
나아가 하루 최대 확진자 100만 명 발생을 가정하고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 특히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상시 병상을 1주일 내에 3500여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권역에서 의료적 조치를 완결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한다.
아울러 감염병에 취약한 장애인과 아동·노인 등에 대한 돌봄체계를 구축하고 긴급돌봄을 강화하며, 긴급복지 위기 사유에 신종감염병 관련 사유도 추가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아프면 쉴 수 있도록 상병수당도 제도화한다.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대유행 발생 전부터 우선순위 병원체 또는 유사송이 높은 시제품들을 구축하고 빠르게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핵심요소기술 및 신기술 국산화를 추진한다. 시제품을 확보한 경우 일부 임상 연구를 생략하고 100~200일 내에 백신·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