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최근 잇따르고 있는 '아동 성폭력 사건'과의 전면전을 선포하고 나섰다.
경찰은 5일 오전 서울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강희락 청장 주재로 전국 지방청장 등 지휘관 36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 경찰 지휘부 회의'를 열어, 관련 대책을 논의했다.
경찰은 먼저 현재 아동 성폭력 사건 관련 업무를 기존 생활안전국 소관에서 수사 전담부서인 수사국으로 이관시키기로 했다.
기존 '원스톱 기동수사대'에 수사 전문 인력을 보강해 '성폭력 전담 수사대'로 확대 개편한다는 것.
이와 함께 아동 성폭력 사건은 모든 업무보다 우선순위를 둬 지휘관이 직접 관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은 또 인력의 한계를 감안, 지역별로 학교 및 주민들과 함께 입체적 감시 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강희락 청장은 "국민들에게 더 나은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해달라"면서 "빠른 시일안에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경찰로 거듭나자"고 당부했다.
한편, 경찰은 최근 불거진 '고문수사 파문', '항명 파동' 등 총체적 난맥상과 관련, 성과주의 개선 및 인권보호책 마련 등 '급한 불 끄기'에 나섰다.
경찰은 5일 오전 서울 미근동 경찰청사에서 강희락 청장 주재로 전국 지방청장 등 지휘관 36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 경찰 지휘부 회의'를 열어, 최근 현안과 후속 대책들을 논의했다.
강희락 청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 경찰이 불미스러운 일로 국민들께 실망과 걱정을 끼쳐드려 송구하다"며 "환골탈태를 위해 일선 지휘관부터 솔선수범해달라"고 주문했다.
경찰은 먼저 최근 조직 내부 동요를 불러온 '성과주의' 논란과 관련, 성과 평가 시스템에 대한 합리적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성과 관리 제도와 '주민 만족도'의 연계성 강화 △현장 근무자들의 의견 지속 반영 △투명한 결과 공개 방안 등을 심층 연구해 보완해간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또 이날 회의에서 서울 양천서 고문수사 파문을 계기로 불거진 인권 보호 대책도 다각적으로 논의했다.
경찰은 먼저 진술영상 녹화실을 대폭 늘려, 마약이나 절도 범죄 피의자 조사 과정은 의무 녹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들 범죄가 다른 범죄에 비해 '추가 범행 여부' 조사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을 감안한 것.
현재 일선 경찰서에 설치된 진술영상녹화실은 서마다 2곳씩 전국 472곳 수준이다.
경찰은 올해 예산 6억원을 들여 대도시 중심으로 35곳을 추가 설치하는 등 수사관 10명당 1곳 수준인 1472곳까지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180도까지 녹화 가능한 CCTV를 설치해 임의 조작을 방지하는 한편, 녹화 영상은 3개월간 의무 보관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강희락 청장은 "개혁과 책임 완수를 통해 빠른 시일안에 국민에게 사랑받는 경찰로 거듭나자"며 "지휘관들도 일선 직원과의 소통에 힘써달라"고 거듭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