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앙암등록 보고서에 따르면 2002년에 소장암이 발병한 사람은 전체 암 발생자의 약 0.5% 정도인 반면, 대장암은 2003부터 2005년에 발생한 암 중 12%로 전체 암 발생의 3위를 차지했다.
소장과 대장, 무엇이 다르기에 암 발생률에서 이렇게 큰 차이를 보이는 걸까?
장점막에 생겨난 악성 종양을 통틀어 장암이라고 하는데, 그 중 2%∼3%만 소장에서 발생하고 나머지는 모두 대장과 직장에서 발생한다. 두 기관 모두 음식물이 소화되면서 지나는 통로지만 대장이 소장에 비해 암에 취약한 원인으로 음식물의 체류시간, 외부 자극 등을 들 수 있다.
이대목동병원 위암ㆍ대장암협진센터 김광호 소장은 “외부로부터 받는 자극과의 접촉시간이 길수록 암 세포가 자라기 쉬운데 대장은 소장보다 더 오래 음식물 찌꺼기가 체류하며 자극성 있는 물질들과 접촉하게 된다”면서 “대변으로 만들어진 후에도 배출 전까지는 계속 대장에 머물기 때문에 음식물이 빨리 통과하는 소장에 비해 암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가 암 발생 통계 결과를 보면 간암, 폐암 등 주요 암은 점차 감소했으나, 대장암은 남녀에 있어서 각각 7.0%, 5.3% 증가했다. 서구식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대장암 발생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
김 소장은 “대장암 발병의 주요 위험 인자로 식습관, 비만, 음주, 연령, 유전적 위험 등이 있는데, 이 중 유전적 요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개인적인 습관만 바꾸면 얼마든지 예방이 가능하다”고 말하며 건강한 식생활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이대목동병원 위암ㆍ대장암협진센터에서는 누구든지 쉽게 실천할 수 있는 3UP, 3DOWN 캠페인을 통해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한 습관 만들기를 진행하고 있다.
3UP, 3DOWN 캠페인을 살펴보면 ▲ 1 UP. 섬유질 섭취량을 늘린다 ▲ 2 UP. 칼슘 섭취량을 늘린다 ▲ 3 UP. 대장암 고위험군의 경우 정기검진 횟수를 늘린다 등 세 가지이며, ▲ 1 DOWN. 총 칼로리 섭취량을 줄인다 ▲ 2 DOWN. 트랜스 지방 섭취량을 줄인다 ▲ 3 DOWN. 흡연과 음주량을 줄인다 등 세 가지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3UP에서 섬유질 섭취량을 늘리는 이유는 섬유질이 수분 흡수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변이 대장 속을 지나며 딱딱하게 굳는 것을 예방한다. 또 대변의 양을 증가시키고, 부드럽게 해 장내 대변의 체류시간을 단축시킨다. 권장 식이섬유의 양은 하루에 20g∼25g 정도. 사과에는 약 5g, 바나나에는 약 4g의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다.
칼슘 섭취량을 늘리는 이유는 칼슘을 섭취하면 선종성 용종으로 불리는 양성 종양이 발견될 확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영양학회에서 권장하는 칼슘 권장 섭취량은 하루 성인 남녀 700㎎ (폐경기 여성 800㎎). 우유는 하루 2컵 이상 마시는 것이 좋고, 요구르트, 치즈와 같은 저지방 유제품을 섭취하도록 한다.
대장암 고위험군의 경우 정기검진 횟수를 늘리는 이유는 대장암 증상이 없는 저위험군인 경우 50세 이후부터 5년∼10년마다 대장내시경검사를 받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궤양성 대장염, 가족성 용종증 등이 있는 경우와 대장암 가족력이 있는 고위험군은 2년∼3년마다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3DOWN의 경우 총 칼로리 섭취량을 줄이는 이유는 섭취하는 총 칼로리가 높을수록 대장암 위험도가 높아진다. 하루에 섭취하는 칼로리가 20세 이상 성인 남자의 경우 2,500Kcal, 여성은 2,000Kcal를 넘지 않도록 한다.
트랜스 지방 섭취량을 줄이는 이유는 지방이 담즙산 분비를 증가시켜 대장 점막을 자극하는데, 특히 트랜스 지방은 대장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장폴립(용종) 발생률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만큼 트랜스 지방의 섭취량을 줄이도록 한다.
흡연과 음주량을 줄이는 이유는 과도한 음주가 직장암의 발생 위험을 높이고, 흡연은 대장 선종과 대장암 위험을 높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