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조계종이 지난 8일 한나라당의 새해 예산안 단독 강행처리와 관련, 앞으로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과는 더 이상 소통과 대화의 상대로 삼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계종은 13일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회의실에서 정부와 한나라당 규탄에 대한 배경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정부의 임기동안 더 이상의 템플스테이 예산지원을 요구하지 않겠다며 정부와의 전면전을 선언했다.
조계종 대변인 원담 스님은 “정부와 한나라당이 국민과의 소통과 대화로 정책을 펼치겠다는 이명박 정부의 출범 공약에 더 이상 신뢰 할 수 없다”며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변화 없이는 대화와 소통의 빗장을 굳게 닫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담 스님은 “템플스테이는 정부와 여당이 추진한 국가적 문화사업으로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문화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을 인지하면서도 단순히 종교적 문제로 치부하는데 대해 분노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따라서 조계종은 “민족문화를 보전하는데 더 이상 정부와 여당과의 공조를 기대하지 않을 것”이라며 “불교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민족문화와 한국불교의 자존을 지켜가며 우리 손으로 문화재를 지키겠다”고 밝혔다.
이와함께 조계종은 전통사찰보존법, 공원구역내 사찰포함 등 정부가 정한 사찰관련 규제 등을 단호히 배격하고, 정부와 한나라당은 불교문화재를 관리할 자격이 없다며 “국립박물관에 소장중인 불교문화재에 대해 환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조계종은 한나라당의 템플스테이 예산안 삭감, 4대강 사업 ,팔공산 역사문화지구 계획 무산 등 불교계의 각종 현안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9일 민족문화수호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종단차원의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번 예산안 삭감에 대해 조계종 중앙신도회를 비롯 산하 단체들은 "이명박 정부와 한나라당의 날치기 예산안 통과를 규탄한다"는 성명서를 잇따라 발표하면서 불교계의 반발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편, 조계종은 오는 17일 전국교구본사주지회의와 원로회의, 중앙종회 의장단·상임위원장단 연석회의, 템플스테이운영사찰 회의 등을 소집한 가운데 전국 본말사와 종무기관에 △이명박 정부규탄 대중법회 개최 △정부 및 한나라당 관계자 사찰 출입 금지 등의 종무행정 지침을 시달해 사실상 산문폐쇄로서 정부와 한나라당에 대한 조계종의 입장을 전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