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월, 여의도한강공원과 서울광장, 광화문광장, 청계천 등 서울 도심광장 일대가 시민과 세계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으로 탈바꿈한다.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의 대표 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 2011’이 5월 5일(목)부터 5월 10일(화)까지 6일간 여의도한강공원 및 도심광장에서 펼쳐진다고 12일(화) 밝혔다.
2003년 60만명이 참여하는 시민 축제로 시작, 올해로 9회째를 맞는 하이서울페스티벌은 2008년 4계절 축제, 2009년 궁 축제 등 탐색과 시도, 진화의 과정을 거쳐 2010년 189만명이 참여한 세계적 공연예술축제로 발돋움했다.
누적 집계한 시민 및 외국인 만해도 2,465만명에 이른다.
2010년부터 ‘넌버벌 퍼포먼스(Nonverbal Performance)’를 주제로 삼고 있는 하이서울페스티벌은, 2011년 ‘봄을 부르는 몸짓, 봄짓’이라는 슬로건 아래, 언어·인종·세대의 장벽을 넘어 몸짓으로 소통하는 국제 넌버벌 공연예술축제를 표방하고 있다.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의 대표 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이 지난해 시의회 절반 예산 삭감(30억→15억)으로 인해 개최기간 등 규모가 축소되는 아쉬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 문화 참여 폭이 줄어들지 않도록 NGO 및 민간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축제의 내실을 기했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축제는 시민들은 물론 캐나다, 스페인, 호주, 중국 등 세계 11개국 41개 공연단체도 참여해 시민과 세계인이 축제의 주체로 함께 참여해 즐길 수 있도록 했다.
6일간의 축제기간 중엔 총 300여회의 국내외 넌버벌 퍼포먼스들을 모두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난타’, ‘사랑하면 춤을 춰라’ 등 국내 대표 넌버벌 퍼포먼스는 물론,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의 개막을 알렸던 공연단체의 특별프로그램 등 18개의 해외 유명 공연작품들이 하이서울페스티벌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축제 개막일인 5일 어린이날, 서울광장에서는 시민 1만명의 신명나는 난장과 거리예술이 어우러진 ‘세계 거리극 퍼레이드’가 펼쳐지며, 세상에서 가장 큰 책 ‘그레이트 북’이 설치돼 눈길을 사로잡는다.
타악 퍼포먼스는 시민 누구나 사전신청 없이 참여 가능하다. 호주 아트그룹 웰(WELL)의 ‘그레이트 북’은 서울광장에 9미터 높이의 책 모양 조형물을 설치하고 퍼포먼스, 뉴미디어, 인터랙티브 아트 등 다양한 예술적 가능성을 시민들과 함께 탐색한다.
올해 하이서울페스티벌에서는 전문 공연단체와 시민들이 소통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는데, 총 7개의 프로젝트에서 시민들은 관객이 아닌 공연의 주체로 축제에 직접 참여한다.
개막일 한강공원에서 특별프로그램으로 선보이는 ‘레인보우 드롭스’에서는 시민 50여명이 30m 상공에서 인간그물을 연출해 서울의 밤을 수놓으며 공연 하이라이트를 장식한다.
1992년 올림픽 개막식과 바르셀로나의 밀레니엄 축하 공연 등 전 세계에서 독특한 공연을 선보이고 있는 스페인 라 푸라 델 바우스의 ‘레인보우 드롭스’는 아크로바틱, 공중극, 불꽃쇼에 용기 있는 시민들의 숨 막히는 공중곡예가 더해져 완성되는 스펙터클한 작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한국과 호주의 국제교류 프로젝트인 ‘쏭노인퐁당뎐’에는 지역주민들이 창작부터 공연까지 함께한다.
이 밖에 축제 현장을 찾은 시민들이 즉석에서 타악, 전통줄타기, 버나돌리기, 탈춤 등을 즐길 수 있는 상시체험 프로그램과 시민 아마추어 콘테스트 등 시민예술가 프로그램이 풍성하게 준비된다.
지난해에 이어 여의도한강공원에는 축제마을 빅탑빌리지가 조성된다. 1,100여석의 ‘축제극장’을 비롯, 총 3개동 2,000여석의 극장을 중심으로 공식초청작들이 공연되고, 동시에 체험프로그램과 나눔 캠페인 등 다양한 기획프로그램들이 펼쳐져 축제를 200% 즐길 수 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