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원인 저축은행의 신용대출이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이 되고 있다. 대출규모가 무섭게 증가할 뿐 아니라 부실징후가 커지면서 금융당국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일 "2011년말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사상 처음 10조원을 넘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2009년 10월까지만 해도 7조원에 못 미쳤으나 최근 2년새 3조원이 넘는 대출 규모가 늘었다. 2009년 9월 0.5%에 불과했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지난해 7월 31.7%로 급상승한 뒤로 매월 30% 안팎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저축은행이 전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로 미미한 수준이다. 하지만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로 불거진 저축은행의 부실로 뼈아픈 경험을 했기 때문에 쉽게 간과할 수 없다. 부실 위험이 상대적으로 큰 소액 신용대출의 비중은 2010년말 45%에서 지난해 말 60% 이상으로 확대됐다.저축은행 대출의 고정이하 여신비율(부실대출 비율)은 같은 기간 10%에서 20%로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두 차례 큰 구조조정에 저축은행 자산은 90조원에서 60조원으로 줄었는데 신용대출은 되레 늘었다"며 "자산의 약 10%가 신용대출이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이 신용대출을 늘리는 것은 PF 대출의 대안이 마땅치 않아서다. 자산 규모를 갑자기 줄이기 어려운 만큼 신용대출로 수익을 내겠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증가를 두고 우려섞인 관측을 내놓고 있다.한국신용평가 고성일 연구원은 "최근 부동산 관련 대출이 줄자 부실비용을 만회하려고 가계대출을 늘리는데, 위험을 적절히 관리하는지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 변동에 따라 부실이 급격히 확대될 우려가 있어 신용대출 증가율이 높은 저축은행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