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0.0℃
  • 흐림강릉 9.2℃
  • 맑음서울 11.6℃
  • 대전 15.0℃
  • 구름많음대구 19.7℃
  • 구름많음울산 19.6℃
  • 광주 17.3℃
  • 부산 17.7℃
  • 구름많음고창 13.4℃
  • 흐림제주 17.4℃
  • 맑음강화 7.6℃
  • 구름많음보은 15.2℃
  • 흐림금산 14.9℃
  • 구름많음강진군 17.4℃
  • 구름많음경주시 19.4℃
  • 흐림거제 17.3℃
기상청 제공

정치

[핵안보] 韓·美·프·벨, HEU→LEU 전환 협력

URL복사

HEU 최소화 위한 공동협력 모델 평가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각국의 다양한 핵물질 최소화 방안이 나오고 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27일 내외신 기자들을 상대로한 4개국 공동성명에서 고농축우라늄(HEU) 연료를 저농축 우라늄(LEU) 연료로 전환하는 공동 협력사업을 발표했다.
 
이날 성명에는 미국 스티븐 추 에너지 장관과 벨기에 조엘 밀께 부총리, 프랑스 베르나르 비고 원자력위원회 총재가 함께했다.
 
이번 4개국의 발표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주요 목적중 하나인 `핵물질 감축'의 모범적 협력 사례로 평가된다.
 
4개국 정상은 이날 "민수용 HEU 핵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밀도 LEU 연료 분말 생산 기술을 이용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에 따르면 한국은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의 독자기술인 원심분무기술을 이용, 내년 중 우라늄-몰리브덴 합금(U-Mo) 분말 100kg을 제조한다.
 
우리나라는 고밀도 LEU 핵연료 제조를 위한 핵심 기술인 U-Mo 분말 제조 기술의 유일 보유국이다.
 
미국은 올해말까지 U-Mo 분말 제조에 필요한 LEU를 한국에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
 
한국이 생산한 이 U-Mo 분말 시료는 프랑스로 넘겨져 고밀도 U-Mo 핵연료 제조에 쓰이며, 이는 또 각각 프랑스와 벨기에에서 검증을 거친 후 고성능 연구로에 장전된다.
 
이들은 U-Mo 핵연료의 성능이 검증되면 다른 국가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연구로 핵연료는 민간 부문에서 HEU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야로 매년 600kg 이상의 HEU가 약 20개의 고성능 연구로에서 사용되고 있다.
 
김 총리는 "민수용 고농축 우라늄 사용을 최소화하자는 핵안보 목표 달성을 위해 4개국의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자 한다"며 "4국의 지원으로 개발된 고밀도 저농축 우라늄 핵연료 제조 기술에 과한 국제적 협력 사업이 이 목표 달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이라는 확신을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