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 현재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대다수가 공부를 ‘왜’해야 하는지는 알지만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성교육 전문연구소 와이즈멘토는 전국 각지 고등학교 1학년 학생 652명을 대상으로 ‘학습과 진로목표의 상관관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고등학교로 첫 발을 내디딘 학생들이 공부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고, 본인이 설정한 진로목표에 알맞은 학습법을 펼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공부하는 이유에 대해 묻는 질문에 학생 70%(485명)는 ‘대학진학 및 직업적 목표 성취를 위해’라고 답변, 공부의 이유에 대한 뚜렷한 목표의식을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진로목표 설정 방법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적성 및 흥미에 부합하는 목표진로 위해 적합한 학과와 향후 경로 등 미리파악’(63%), ‘본인 재능에 따라 주어진 길을 가면 된다’(21%)라고 답해 진로설정의 기준이 ‘적성’이 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학습목표를 어떻게 세우냐는 질문에는 ‘현 상황에서 할 공부를 하다보면 진학할 수 있는 곳이 구체화될 것 같다’는 대답이 40%로 가장 많았으며, ‘목표 대학 및 학과에 대한 구체적 기준을 생각한다’는 대답이 13%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여 학생들이 구체적인 목표 도달방법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목표와 현재 학습상태의 차이를 파악해보았냐는 질문에는 ‘보충부분 파악 필요성 알지만 그 때 그 때 필요한 부분을 주로 공부하는 편’이라는 응답이 51%, ‘보완방법 구체적으로 알지 못함’ 답변이 31%로, 과반 수 이상이 계획적인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컨설턴트 조진표 와이즈멘토 대표는 “진로교육에서 적성과 흥미 찾기가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등학교 시기 진로교육에는 ‘학습’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며, “고등학교 때에는 직업에 초점을 두기 보단 자신의 진로목표에 따른 대학교와 학과에 초점을 맞추어 진로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해당 학교 및 학과에 도달할 수 있는 교과학습을 마련하는 것으로, 목표 학교 및 학과별 대입전형의 세부내용들을 파악하여 학습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