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23.7℃
  • 흐림강릉 15.6℃
  • 맑음서울 23.4℃
  • 구름조금대전 22.3℃
  • 흐림대구 14.6℃
  • 흐림울산 14.0℃
  • 구름많음광주 25.6℃
  • 흐림부산 15.4℃
  • 구름많음고창 21.4℃
  • 구름조금제주 19.4℃
  • 구름조금강화 21.4℃
  • 구름조금보은 20.9℃
  • 구름많음금산 23.9℃
  • 흐림강진군 22.1℃
  • 흐림경주시 13.9℃
  • 흐림거제 14.3℃
기상청 제공

문화

신선설농탕, ‘함께 나누는 행복’ 어린이그림공모전 개최

URL복사

내달 31일까지 접수 6~13세 어린이라면 누구나 참여가능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 신선설농탕이 제 5회 ‘함께 나누는 행복’ 어린이그림공모전을 실시한다.

이번 공모전은 아이들에게 사회 환원의 중요성과 나눔의 기쁨을 일깨워주기 위해 ‘나눔으로 하나되어, 더불어 살아가는 행복한 우리나라’라는 주제로 열리며, 6~13세까지 대한민국 어린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참여 방법은 신선설농탕 매장에서 양식이 첨부된 8절 도화지를 수령한 후 그림을 그려 접수하거나 공식 홈페이지(www.kood.co.kr)에서 양식을 다운받아 그린 그림(8절 도화지) 뒤에 부착해 제출하면 된다.

접수 기간은 5월 1일부터 31일까지 가까운 신선설농탕 매장을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가능하다.

수상자는 신선행복상 1명, 신선사랑상 2명, 신선나눔상 3명, 신선재능상 20명 등 총 26명을 선정해 부상으로 장학금과 신선설농탕 시식권 등을 차등 지급할 예정이다.

특히 행복상, 사랑상, 나눔상 수상자에게는 서울교육대학교 미술영재연구소에서 제공하는 C∙I∙L∙P(Creativity∙Leadership∙Inquiry∙Problem solving)프로그램 진단 및 실습의 혜택을 제공하며, 수상자 전원에게는 파버카스텔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미술 용품을 증정할 계획이다.

수상자는 6월 넷째 주 신선설농탕 매장과 홈페이지(www.kood.co.kr)를 통해 공개되며, 수상작은 추후 신선설농탕 매장에서 사용되는 쇼핑백에 게재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작품을 접수하면서 참여할 수 있는 응모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이번 이벤트에서는 추첨을 통해 ▲예림당 가족뮤지컬 ‘why? 마법사와 쫓겨난 임금’ 티켓 200쌍, ▲예림당 어린이 도서 200권, ▲신선설농탕의 어린이설농탕 시식권 800장을 제공한다. 추첨은 6월 10일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신선설농탕은 어린이그림공모전과 더불어 5월 동안 어린이설농탕을 5회 주문한 고객들에 한해 핸드메이드 머리핀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해당 이벤트는 선착순으로 진행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