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8.3℃
  • 맑음강릉 16.0℃
  • 구름조금서울 18.3℃
  • 구름조금대전 20.3℃
  • 흐림대구 14.9℃
  • 흐림울산 14.5℃
  • 구름조금광주 19.9℃
  • 맑음부산 16.8℃
  • 구름많음고창 20.9℃
  • 맑음제주 20.0℃
  • 구름많음강화 17.6℃
  • 맑음보은 16.8℃
  • 구름많음금산 18.8℃
  • 흐림강진군 16.9℃
  • 맑음경주시 15.6℃
  • 구름많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경제

공공기관의 91.5% 신용카드 NO

URL복사


공공기관의 91.5% 신용카드 NO



소액결제에 따른 기피 여전, 신용카드 사용의 사각지대



정부와 국세청은 납세의
정확한 근거 제시와 공평한 과세의 기반이 되는 신용카드 사용을 활성화해 왔다. 그런데 국민이 널리 이용하고 있는 공공기관과 의료기관이 오히려
신용카드 사용의 사각지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사회 아직 멀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서울을 비롯한 7대 도시 공공기관(우체국, 복지관, 시청/구청, 동사무소, 터미널, 보건소, 역) 1,674곳, 의료기관(병원,
약국) 3,998곳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사용과 영수증 발급여부를 조사한 결과.

공공기관인 경우, 전체조사 대상 기관 1,674곳 중 8.5%인 143곳만이 신용카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1.5%인 1,531곳이
신용카드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신용카드 사용률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인 경우, 전체조사 대상 기관(3,998개)중 16.1%(642곳)가 신용카드를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신용카드를 받고 있는 전체 의료기관 3,356곳 중 45.7%인 1,535곳은 아직도 신용카드 가맹 표시를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의 신용카드 사용이 전체적으로 확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용카드 사용과 관련하여 이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신용카드
가맹점 표시율은 현저하게 떨어져 신용카드 사용을 저해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병원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을 사용하는 약국의 경우(서울지역) 전체조사 대상 약국 429곳 중 83.7%인 359곳이 신용카드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6.3%인 70곳은 신용카드를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신용카드를 받고 있는 약국 359곳 중 60.7%인
218곳이 사용금액을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으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곳은 30%에 불과했다.


소비자도 앞장서야

조사 대상 공공기관의 대부분이 구청 및 동사무소 민원서류 발급 업무를 하는 창구로 물론 거래액이 소액이라는 점 때문에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저조한 점이 있으나 투명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고 시민들의 신용카드 사용 활성화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소액 거래라도 신용카드 사용을 가능하게
해 생활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거래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신용카드 거래 활성화와 영수증 발급 정착이 공공기관에서부터 조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서울의 경우 전년도 조사결과 신용카드 사용률이 저조한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대상으로 이용자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피부의 경우 전체
이용자 344명중 26.6%인 89명이, 성형외과의 경우 이용자중 67.9%인 225명만이 신용카드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카드
사용률이 저조한 것과 관련해 신용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68.1%(239명)이 ‘현금지불이 편해서’라고 응답하여 카드사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전환도 좀더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보여진다.




고병현 기자 sama1000@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尹 파면 · 조기 대선 국면 부동산 향방은?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윤 정부가 추진했던 부동산 정책이 사실상 전면 중단되면서 부동산 시장은 관망세가 짙어졌다. 조기 대선 이후 주택 공급 정책과 기준금리·대출 규제에 대한 향배가 결정될 때까지는 부동산 시장은 당분간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尹 파면,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윤 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사라지고 추진했던 부동산 정책이 대부분 동력을 상실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기 대선 국면에 진입하면서 차기 대선 주자들의 부동산 정책도 대립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당분간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은 짙어질 전망이다. 주택공급 방안 관련 윤 정부 핵심 키워드는 ‘민간 주도’로 도심의 공급 물량 확대를 위해 정비사업을 위축시키는 규제를 풀고, ‘민간 주도’의 공급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주 골자였다. 윤 정부는 임기 내 전국 270만 호 주택 공급을 약속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성과가 없어 ‘공급 불안’ 우려가 큰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 파면으로 집값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부동산 정책 동력 자체가 떨어지면서 비상등이 켜졌다. 더욱이 조기 대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택 공급이 원활하게 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