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개념의 체질생식 사계(四季)
4체질 혈액상태 이론에 따른 생식을 개발한 (주)위드내이처
인간의 신체는 흔히 소우주(小宇宙)에 비유되며 무병장수·불로장생은 인간에게 있어 염원과도 같은 것. 신체 외적으로 우주자연의 오묘하고
신비한 원리와 법칙이 인간생명과 인체생리의 기본이 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동양의학에 있어서는 황제내경(黃帝內經)영추(靈樞)통천편(通天篇)에 체질과 성격을 오행에 결부시켜 태양·태음·소양·소음·음양화평인으로 크게
나누고, 25태인론(態人論)에서는 기본 다섯형을 다시 각 5형으로 세분하여 25형의 체질로 분류해 놓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동양의학 체질이론의 근본으로 계속 인식되어 오다가 조선말기 이제마 선생이 사상체질(四象體質)분류를 주장한 후 이 학설은 현재까지
가장 보편적 체질이론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최근 이러한 이제마 선생의 장부이론 (주장기 이론)에 따른 「4체질 혈액상태이론」을 근간으로
새로운 차원의 신개념 생식인 ‘사계(四季)’를 개발한 (주)위드내이처를 찾아보았다.
4체질 혈액상태이론이란
한방치료를 받아본 사람들은 흔히 인삼이 맞는 체질, 녹용이 더 좋은 체질, 또는 소양인체질, 소음인 체질 등이라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사상체질이란 인체를 4가지로 분류하여 그에 따른 섭생법과 병의 치료법을 제시한 것으로 이제마선생의 <격치고(格致藁)>란 책에
“태극은 심(心)이며, 양의는 심신이고, 사상은 사심신물(事心身物)이다”라는 구절에 근거한 것이다. 체질별로 태양인은 호흡기가 강하고 간기능이
약하며, 소양인은 소화기가 강하고 비뇨생식기가 약하다. 태음인은 간기능이 강하고 호흡기가 약하며, 소음인은 비뇨생식기가 강하고 소화기가
약하다.
그에따라 태양·태음인은 비축된 혈액의 많고 적음에 따라, 소양·소음인은 혈액이 진하거나 묽거나 하는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체질별 혈액상태이론을
바탕으로 체질별 병증과 이를 다스리는 생식을 개발해 낸 것이다.
같은 두통·현훈·이명·불면증이라도 소양인·태양인 체질은 혈액이 묽거나 부족하여 뇌부에 충분한 영양 및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여 오지만, 소음인·태음인은
혈액이 진하거나 탁해서 생기는 어혈로 인해서 오는 것이다.
사계생식의 재료배합원리는
생식은 단식과 함께 난치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로부터 애용되어 왔던 치료법이며 인간이 식생활에서 오는 불합리한 문제점들을
바로잡기 위해서 자연의 무공해 곡류와 채소류, 해조류, 과일등을 자연 그대로 섭취하는 식사방식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사계생식은 이러한 자연의 재료들을 영양학적인 이론과 함께 ‘한방4체질’에 의한 체질별 장부의 대소에 따라 배합하여 만들었는데,
영양학적으로 밝혀진 칼로리·효소·비타민·미네랄등에 관한 미시적 과학지식을 생명에 대한 거시적 이론에 근거하여 한의학의 장부이론과 연결시킨
것이다.
즉 한방장부이론(5장6부의 대소허실에 따라 신체의 병리와 생리를 논하는 한의학 이론의 한 분야)에 의해 정립된 이제마선생의 4체질이론에
의하면 체질에 따른 장부의 대소균형에 따라 많이 써야할 재료가 있고 적게 써야할 재료가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관절염혹은 간염에 효과가
있는 비타민C를 섭취하기 위해 귤 혹은 모과·오미자를 섞어 차로 마시고자 할 때,어떤 사람은 레몬보다 오미자가 또다른 사람은 오미자보다
모과가 좀더 효과적이어서 사람의 체질에 따라 이들의 비율을 약간씩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는 영양학적으로나 생화학적으로 비타민C가 발휘하는 상세한 기전이 밝혀졌다 하더라도 체질별 장부의 대소에 의해 혈액의 양과 상태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방 4체질론에 따른 재료들을 부장기이론에 의해 배합하면 「근접한 3체질」이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체질별 생식이 된다.
문의: 샬롬한의원 031) 315-2284~5
(주)위드내이처 02) 573-0271
한방체질이론에 현대 영양학을 조화시킨 강주봉 원장
- 사계생식의 개발동기는. 이제마선생의 「동의수세보원」에 보면 4체질의 구분 기준을 ‘심욕과 희로애락의 성정에 따른 선천적 장부의 대소편차에 있다’고 - 사계생식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말씀해주신다면. |
김승호 기자
www.sisa-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