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새정치민주연합 정동영 상임고문은 13일 “문희상 비대위가 잘못 가고 있다. 계파 수장들이 모여서 당을 끌고 가겠다고 선언한 이후 당이 더 엉망이 됐다”고 주장했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이날 전주에서 열린 시민강좌에서 현 지도부를 향해 “구태정치의 전형이자 혁신대상”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특정 계파가 당권을 장악하게 되면 그 당은 지지할 수 없다. 그 때는 100% 신당으로 가야 된다’ 그것이 현재 호남의 다수 여론이고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정 상임고문은 “그런데도 이런 현장의 생생한 느낌을 모르는 곳이 딱 한 군데 있다. 바로 여의도에 있는 당 지도부”라며 “그렇게 무사태평(無事泰平)하고 평온해 보일 수가 없다. 아직도 당이 결정하면 호남은 당연히 따라온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정 상임고문은 “문제의 핵심은 크게 3가지로 첫째 세월호를 버렸다. 둘째 특정 계파의 사당화로 스스로 혁신대상으로 전락했다. 셋째 여전히 노선과 정체성이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비대위가 계파 극복의 사명을 띄고 출발했는데 특정 계파의 독과점 연합체가 돼버렸고, 혁신을 하라고 했는데 비대위 자체가 혁신 대상으로 전락해버렸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 상임고문은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혁신이 안되고 계파정치가 극에 달하고 있는 이유는 ‘절박함’이 없기 때문”이라며 “호남 패권에 안주해 당내 공천만 따내면 된다는 생각에 더욱 계파정치에 매달릴 수밖에 없고, 이는 곧 계파 수장의 당권 장악과 눈치보기·줄대기에만 모든 관심이 가 있을 뿐 당원과 지지자들은 안중에도 없는 계파 패권 정치가 극에 달하면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친노 비노 구도에 대해서는 “친노는 책임과 반성이 없고, 비노는 시대정신이 없다. 둘 다 공통점은 정체성이 없다는 것”이라며 “노선과 정체성이 없기 때문에 남는 것은 벌거벗은 패거리 권력투쟁뿐이고, 이것이 오늘 새정치연합에서 목격하고 있는 엄연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무현의 공만 인정하고 과는 인정하지 않으면,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며 “우리는 노 전 대통령을 넘어서 또 다른 세상, 더 좋은 세상을 꿈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 상임고문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무상보육·무상급식·복지재원 논란에 대해 “재벌·부자 감세 원상복구와 사회복지세 도입으로 무상보육·무상급식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