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13.4℃
  • 맑음서울 19.7℃
  • 맑음대전 17.9℃
  • 흐림대구 14.6℃
  • 흐림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19.9℃
  • 흐림부산 13.4℃
  • 흐림고창 13.6℃
  • 맑음제주 18.7℃
  • 맑음강화 14.8℃
  • 맑음보은 15.5℃
  • 맑음금산 17.3℃
  • 흐림강진군 15.4℃
  • 흐림경주시 12.7℃
  • 흐림거제 13.7℃
기상청 제공

정치

김영환 “문재인 불출마가 계파 패권주의 청산”

URL복사

온건합리적 세력이 당 전면 나서야

[신형수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김영환 의원이 18일 문재인 의원의 당권 불출마가 계파 패권주의를 청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이같이 언급했다.

당 경선 룰에 대해서는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별도로 경선해야 한다는 것이 다수의 의견이다. 임시 체제인 비대위 체제에서 당헌당규 변경은 쉽지 않다. 룰에 관한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상황에서 룰 변경은 또다른 혼란이 빚어질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 기존 당헌당규에 동의하는 의견이 많으므로 기존 룰을 따라 갈 가능성이 많다”고 말했다.

문재인 의원의 출마에 대해 “일단 출마한다면 전당대회는 친노/비노 계파정치가 그대로 발현되어 전당대회에서 정책이나 이념은 사라진 것으로 언론이나 국민이 보게 될 것이다. 이후 문재인 의원이 당대표가 되면 친노 패권주의로 흐르게 되어 당의 쇄신은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이어 “문 의원 자신은 쇄신의 의지를 이야기 했으나, 국민은 친노에 의한 당의 장악으로 볼 것이다. 결국 지난 대선과 총선의 데자뷰가 될 것이다. 전당대회 실패, 외연확장, 총선·대선의 전도의 불투명으로 이어져, 분당의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문 의원은 불출마가 계파청산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삼무(三無)의 전당대회 즉 ‘비전에 대한 토론이 없고, 대안의 모색이 없고, 감동이 없는’ 전당대회가 되면, 전대 이후 당의 지지율이 20%대를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분당의 위기와 갈등이 내제되게 된다. 이 불행한 사태를 막기 위해 무엇인가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 나의 심정이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낮은 당 지지율을 벗어나기 위한 해법으로 “계파정치 청산과 무엇보다 노선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시대와 국민이 변화하는데, 야당은 변화하지 못했다. 국민들은 스마트폰 시대에 LTE 속도로 나아가고 있는 우리는 2G 상태이다. 노선과 정책으로 대결하는 전대가 되고, 온건합리적 세력이 당의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