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정성호 의원(양주․동두천)은 22일 「대한항공기 회항사건 관련 현안보고」에서 “항공정책실소속 공무원 170명중 47명인 28%가 한진그룹이 설립한 ‘정성인하학원’출신으로 구성되었으며, 항공정책실에서 채용한 전문계약직(가급, 나급)공무원 27명중 21명인 77.8%가 대한항공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으로 구성되는 등 대한항공과 관련된 편중인사가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 의원은 “국토부는 지난 9월 항공기내 불법행위에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는 보도자료를 통해‘모든 불법 행위에 대해 도착공항 경찰대에 인계하여 법적 조치를 하도록 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이번 사건에서는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고, 최근 3년간 항공사에 대한 과징금 부과 현황을 보면 아시아나 항공 2억 7,000만원, 저가항공사(제주항공 외3곳) 1억 6,500만원을 부과하였으나, 대한항공은 750만원만 부과한 것은 특정 항공사 봐주기 아니냐”며 국토교통부장관을 강하게 질타했다.
의원실에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모든 항공사에서 객실 서비스 문제로 램프리턴 한적이 단 한 번도 없었고, 기내 소란행위자에 대해 대한항공은 99% 공항 경찰대에 인계해 왔다.
2010년 이후 항공기 내 난동행위 발생현황을 보면 총 38건의 기내 난동행위가 있었으며, 그중 대한항공 기내에서 (19건) 가장 많은 난동 행위가 발생했다.
난동행위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 승객간 폭행 및 승무원에 대한 폭행, 협박, 폭언등의 행위였으며, 대부분 공항 경찰대에 인계조치 했다.
특히 대한항공은 단 1건에 대해서만 자체종결하고 나머지 18건은 공항 경찰대에 인계하였다. 하지만 조현아 전(前)부사장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공항 경찰대에 인계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