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정윤회 문건 유출 사건을 놓고 새누리당은 계파 갈등이 극심해지고 있다.
비박계 이재오 의원과 정병국 의원이 지난 7일 청와대가 책임질 사람은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특검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고 발언한데 이어 8일 조해진 의원이 국정조사 도입을 요구했다.
이재오 의원은 지난 7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찌라시 수준의 문건이 청와대에서 유출됐고, 연말에 정국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며서 “그러면 그 부분에 대한 최소한 도의적 책임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회의 직후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야당의 특검 요구에 대해 고려해볼 수 있다고 대답했다.
정병국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누군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청와대에서 책임을 지고 인적 쇄신을 해야 되지 않겠나”라고 이야기했다.
여기에 조해진 의원이 8일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결과적으로 한다면 국민적 우려를 씻어주는 차원에서는 국정조사가 맞는데 그러려면 여야가 오직 객관적 진실규명에 충실하겠다는 각오가 있어야 한다”며 “정치적 공방만 주고받으면 진실이나 실체를 밝혀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친박계 홍문종 의원은 같은 날 다른 라디오방송에 출연, 이재오 의원을 겨냥해 “야당에서 하는 비판의 수위와 비슷해 섭섭함이 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이어 "어쨌든 우리가 같은 당을 하는 분들이고, 같은 편 아니겠느냐"라면서 "우리 환부를 잘 싸매주고 또 우리가 힘을 낼 수 있도록 해주면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청와대 책임론·인적 쇄신론과 관련해선 "국정농단 사태가 없었다고 하는 것이 검찰수사 결과 아니겠느냐"라면서 "아무 잘못이 없는 것으로 밝혀진 분들에게 찌라시에 나왔다는 이유 하나 만으로 문책성 인사를 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청와대를 위해서나 그분들 개인들을 위해서도 옳은 일 같지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인적 쇄신 필요성이라기보다는 약간 느슨하게 된 기강을 이번 기회에 다시 한 번 잡아서 집권 3년차를 민생경제에 집중하고, 청와대가 정신 바짝 차리고 잘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