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청와대 김영한 전 민정수석이 국회 운영위원회 출석 거부를 한 사태에 대해 여야는 일제히 비판을 가했다. 하지만 그 대상은 전혀 달랐다.
새누리당은 김 전 수석의 행동은 잘못됐다고 비판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청와대의 공직기강이 해이해진 것이라면서 인적 쇄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은 1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국민의 요구를 청와대 수석비서관이 안듣는 것은 아주 잘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 최고위원은 “항명이라기보다는 국회의원들이 요구한 것은 국민의 요구로 오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을 국기 문란으로 규정한 후 공직사회 기강에 엄중한 경고를 보낸 지 한 달이 채 안 돼 대통령 집무실인 청와대에서 항명 사태가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문 위원장은 “더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청와대가 김 전 수석을 징계하고 파면, 해임한 것이 아니라 조용히 사표수리한 것”이라며 “민정수석의 사표가 수리됐다고 비선실세 국정농단의 진실도 사표처럼 수리될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시무식에서 ‘파부침주’로 기강과 충을 강조한 후 처음 발생한 것이 민정수석의 항명사태”라며 “"민정수석은 진짜 청와대 기강을 깨뜨리고 배마저 가라앉혔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