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23.7℃
  • 흐림강릉 15.6℃
  • 맑음서울 23.4℃
  • 구름조금대전 22.3℃
  • 흐림대구 14.6℃
  • 흐림울산 14.0℃
  • 구름많음광주 25.6℃
  • 흐림부산 15.4℃
  • 구름많음고창 21.4℃
  • 구름조금제주 19.4℃
  • 구름조금강화 21.4℃
  • 구름조금보은 20.9℃
  • 구름많음금산 23.9℃
  • 흐림강진군 22.1℃
  • 흐림경주시 13.9℃
  • 흐림거제 14.3℃
기상청 제공

정치

전병헌, 집권혁신플랜 시리즈와 지역밀착형 비전공약 발표

URL복사

중앙당의 지역발전 관심 필요

[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2.8 전당대회가 어제 전북도당 대의원대회를 기점으로 중반을 넘어섰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 전당대회가 혁신과 비전 경쟁보다는 해묵은 계파 갈등과 소모적인 신경전만 난무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당대회를 정책경쟁, 혁신경쟁으로 이끌기 위한 움직임도 있다. 최고위원 후보로 나선 전병헌 전 원내대표는 자신이 직접 준비한 <집권혁신플랜>을 시리즈로 발표하면서 당 안팎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병헌 후보는 지난 4일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3+1 보편적 복지 정책을 연상시키는 “3+1 애당심 점화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또한, 지난 14일에는 <지방자치 혁신 프로젝트>를 발표, 올해로 20주년을 맞이하는 지방자치 제도의 여러 문제점들을 당론으로 혁신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전후보측은 <집권혁신플랜> 세 번째 시리즈로 조만간 ‘당 개조 프로젝트’를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전병헌 후보는 시도당 대의원대회를 계기로 지역 현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해당 지역 발전에 대한 구체적인 지역공약 발표로 주목받고 있다. 부산에서는 국제문화콘텐츠도시 육성 방안을 발표했고, 전남에서는 ‘나주 모바일게임센터 설립’, 광주에서는 ‘광주문화경제특구 추진’, 충청권은 ‘충청남북도와 대전, 세종시를 하나의 권역으로 발전시키는 충청대세컨버전스 T/F 구성과 신수도권화 추진’을, 전북은 ‘연구개발특구지정’을 비롯 ‘KTX증편과 전북국제공항 신설 지원’ 등을 발표했다.

그동안 정당의 전당대회가 주로 당내 문제와 거대 이슈에만 매몰되어 왔지만 그 틀을 벗어나 좀 더 진일보한 지역밀착형 선거운동을 펼치고 있어 유권자인 당원들과 국민들의 최종 선택이 주목된다.

전병헌 후보측은 “중앙당의 지역발전에 대한 관심과 약속, 그리고 착실한 이행노력이야말로 지방 균형발전은 물론, 정당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높이는 지름길”이라며 남은 기간에도 계획된 지역공약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