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보건당국이 격리·관찰 중인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대상자가 하루만에 570여명이나 급증, 현재까지 무려 1400명에 달하면서 방역 대응이 사실상 '통제 불능'에 빠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3일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밝힌 격리 대상자는 현재 1364명(자가 1261명·시설 103명)이다. 여기에는 교사·학생 약 300명과 119구급대원 11명도 포함돼 있다.
전날까지 791명이던 격리 대상자가 하루 만에 573명 불어난 것이다. 메르스의 최대 잠복기인 2주(14일)가 지나 격리가 해제된 인원은 52명이다.
격리 대상자가 1000명을 초과하면서 보건당국이 일괄 통제할 여력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 격리 대상자는 당국의 권고를 무시하고 이탈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이에 대해 권준욱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기획총괄반장은 “격리 대상자 여부를 찾지 못하는 사례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로베이스부터 다시 조사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격리 대상자가) 발견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격리 대상자를 100% 찾기 위해 지금도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일부 자택격리자 중에 갖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철저를 기할 것”이라면서 “의심환자가 실종돼 경찰이 추적에 나선 것도 자가격리를 제대로 했다는 반증으로 본다. 자가 격리자의 행선지가 파악이 안되면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서라도 격리가 이뤄지게끔 조치하고 있다”고 답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사회로의 전파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권 반장은 “아직까지는 의료기관 내 감염에 머물러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여러 사실로 볼 때 사람 간 전파의 효율성이 높지 않아 (현 상황을) 지역 간 전파로 보기는 상당히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의료기관 내 환자들 사이에 발생하는 (감염)이 파악되지 않고, 전혀 새롭게 등장하는 감염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면 그 때는 더 철저한 조사를 통해 방어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