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0.0℃
  • 흐림강릉 9.4℃
  • 박무서울 10.1℃
  • 흐림대전 15.1℃
  • 구름많음대구 19.3℃
  • 구름많음울산 16.1℃
  • 광주 16.7℃
  • 흐림부산 17.2℃
  • 구름많음고창 13.9℃
  • 흐림제주 18.2℃
  • 맑음강화 7.1℃
  • 흐림보은 15.0℃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7.1℃
  • 구름많음경주시 13.3℃
  • 흐림거제 17.1℃
기상청 제공

사회

확진 154명·사망자 19명…4차 감염자 1명 추가[종합]

URL복사

삼성서울병원서 3명 추가 감염…잠복기 넘겨 발생해 ‘3차 유행’우려 확산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국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가 4명 더 늘어 총 154명이 됐다. 추가된 환자 중 3명은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서울병원발(發) 2차 유행을 촉발한 14번(35) 환자의 최대 잠복기가 지난 12일로 끝난 뒤 확진자가 계속 발생해 '3차 유행'이 본격화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나머지 1명은 3명의 환자를 거쳐 감염된 4차 감염자다. 이로써 4차 감염자는 6명으로 불어났다. 사망자도 3명 더 나왔다. 지금까지 메르스에 감염돼 숨진 환자는 모두 19명이다. 치사율은 10.7%에서 12.3%로 높아졌다. 보건당국이 관찰 중인 격리대상자는 밤사이 370명 늘어 5600명에 달한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16일 이 같은 메르스 현황을 발표했다. 신규 환자 4명 모두 메르스 환자와 같은 병원에서 머물다 바이러스를 옮은 경우였다. 이중 3명(151번, 152번, 154번)은 5월 27~28일 사이 가족 간병을 위해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던 사람들이다. 증상이 발현해 확진까지 1~2일이 걸린다는 것을 감안해도 잠복기가 지나 환자가 발생한 것이다.

앞서 이 병원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 146번(55) 환자도 최장 잠복기보다 사흘이나 늦게 증상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가족이 함께 응급실에 있었다는 점에서 가족 감염이나 병원 내 4차 감염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153번(61·여) 환자는 6월5일 118번(67·여·사망) 환자와 방문한 같은 의원급 병원에 있었다. 118번 환자는 5월25~27일 평택굿모닝병원의 같은 병동에서 체류했던 14번 환자에게 노출됐던 3차 감염자다.

38번(49)과 98번(58), 123번(65) 환자가 15~16일 숨지면서 사망자 수는 총 19명으로 늘었다. 28번 환자는 알코올성 간경화와 당뇨를 앓고 있었지만, 나머지 2명의 환자는 별다른 지병이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상태가 불안정한 환자는 16명이다. 병이 완치해 퇴원한 환자 수는 3명 추가돼 총 17명이 됐다. 9번(56), 56번(45), 88번(47) 환자가 전날 퇴원했다.

앞서 2번(여·63), 5번(50), 18번(여·77), 34번(여·25), 7번(여·28), 37번(45), 13번(49), 19번(60), 17번(45), 20번(40), 8번(46·여), 27번(55), 33번(47), 41번(70·여) 환자가 2차례의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타나 퇴원했다.

현재까지 퇴원한 17명 중 남성은 11명으로 전체의 65%였다. 나머지는 여성(6명·35%)이다. 연령별로는 40대가 8명(47%)으로 전체의 절반 수준이었다. 50대가 3명(18%), 20대와 60대, 70대가 각각 2명씩(12%)으로 집계됐다.

격리자 수는 전날 오전 6시 기준 5586명이다. 전날보다 370명 불어난 숫자다. 증가폭은 전날의 360명 수준이다. 자택격리자 수가 313명 늘어 총 5238명이 됐다. 전체 격리 인원의 93.7%에 해당한다. 시설 격리자는 57명 늘어난 348명으로 집계됐다.

메르스 환자와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최대 잠복기인 14일(2주)간 격리됐다가 증상이 발현되지 않아 해제된 인원은 하루 새 383명 늘어 3505명이 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