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이상미 기자]오는 2018년부터 중·고등학교의 수학시험이 쉬워질 전망이다. 교육과정의 평가 지침사항을 통해 수학문제를 어렵고 복잡하게 출제하는 것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개정 수학 교육과정 시안을 개발 중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진'은 31일 오후 서초구 서울교육대학교에서 '2015 교육과정 개정 2차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수학 교육과정 2차 시안을 발표했다.
이번 시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평가 유의사항' 지침을 영역별로 뒀다는 점이다.
평가 유의사항은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는 다루지 않는다',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를 구하는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도수분포표에서의 평균은 다루지 않는다' 등의 지침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고난도 문항 출제를 원천적으로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 학교급별로 배우는 내용이 줄어든다.
초등학교에서는 ▲분수와 소수의 혼합 계산 ▲원기둥의 겉넓이와 부피 ▲아르(a)·헥타르(ha) 단위 등이 빠진다. 중학교에서는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활용 ▲도수분포표로 자료의 평균 구하기 등의 내용이 사라진다. 고등학교에서는 공통수학의 경우 미지수가 3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이 빠지고, 확률과 통계에서는 분할과 모비율이 기하에서는 공간벡터가 삭제된다.
연구진은 이번 시안이 핵심 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학생 발달 단계에 따른 성취 기준의 수준과 범위를 적정화해 2009년 개정 대비 학습량을 약 20% 정도 줄였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9월까지 학계와 시민단체 등의 의견 수렴을 거친 뒤 새로운 수학교육과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새 교육과정은 현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오는 2018년부터(초등학교는 2017년부터)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