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영도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 합당 논의가 이달 초부터 본격화되면서 7일 찬반투표에 들어가는 반면 야당은 원내대표 구성 후 합당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어서 21대 지방총선의 참패 후유증이 길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비례대표 연합정당인 더불어시민당 합당에 대한 토론은 1일부터 8일까지 진행되며 7일 오전 6시부터 8일 오전 6시까지 24시간 동안 합당에 대한 찬반 투표를 온라인과 모바일로 실시한다.
민주당은 찬반투표 결과에 따라 이달 15일까지 합당을 마무리하고 당 중앙위원회를 통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하기로 했다.
반면, 미래통합당은 비례대표 연합정당 미래한국당과 통합 논의는 신임 원내대표 구성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래한국당 당선자가 19명이어서 의원 한 명만 미래한국당으로 이적하게 되면 원내교섭단체 구성도 가능해져 여당을 압박할 수 있는 카드로 활용될 여지가 높다.
공수처장 임명 추천위원 7명 가운데 야당 위원이 두 자리를 차지하는 만큼 여당을 압박하거나 견제할 수 있어 각자 노선으로 움직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미래통합당은 김종인 비대위 체제 결정 권한이 새 원내대표 지도부로 넘어가면서 비대위 체제 존속과 자강론으로 갈등과 잡음이 일고 있어 당권을 놓고 치열한 경합이 예상되는 만큼 양당의 합당 논의는 원내대표 경선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현재 당 원내대표에 출사표를 던진 의원은 4선의 이명수 의원이 유일하며, 5선 주호영 의원, 4선 김기현 의원, 3선 김태흠ㆍ장제원 의원 등이 출마할 가능성이 짙다.
이번 총선에서 당 최고위원으로 유일하게 살아남은 5선 조경태 의원이 비대위 체제를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전당대회를 목표로 당 대표 출마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한 측근은 “조 의원이 강하게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은 큰 뜻이 있어서가 아니겠냐”고 의중을 간접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