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K-방역을 대표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특허청에 따르면 코로나19 진단기술은 지난 2월 국군의무사령부에 의해 처음 특허출원(4월 등록)된 후 4개월 만에 40건이 출원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3년 발생한 사스(18년간 19건 출원)나 메르스(2013년 발생해 7년간 32건 출원)와 같은 호흡기 증상 바이러스 유행 때와 비교할 때 매우 높은 증가세다.
특허청은 이에 대해 팬데믹으로 인한 전 세계적 수요 폭증과 K-방역에 대한 신뢰도 상승, 승인 절차의 신속화 및 국제표준화 등을 포함한 적극적 지원정책이 기술개발을 촉진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특허청에 출원된 코로나19 진단기술은 크게 분자진단법(22건)과 면역진단법(18건)으로 나뉜다.
분자진단법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증폭해 검출하는 방법으로 ▲실시간 RT-PCR법(7건) ▲실시간 등온증폭법(8건) ▲바이오마커 진단법(3건) 등의 기존 기술과 최근에 상용화되고 있는 ▲유전자가위 진단법(4건)이 있다.
면역진단법은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 또는 인체의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항원검출법은 16건, 항체검출법은 2건이 출원됐다. 면역진답법은 30분 내로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나 정확도는 분자진단법이 높다.
40건의 특허출원을 주체별로 분석하면 기업체가 17건, 대학 12건, 정부기관 및 출연연구기관 6건, 개인이 5건으로 조사됐다.
월별로는 지난 4월이 21건으로 가장 많았고 3월에도 9건, 5월 6건, 2월에 4건이 각 나왔다.
이 중 10여건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으며 1호 등록특허인 국군의무사령부의 진단기술은 이미 다수의 기업에 기술이전됐고, 이후 등록된 2건의 국립대(충북대) 출원 역시 권리가 기업에 이전되는 등 특허기술이전 및 사업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올 가을 이후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을 예측하고 있어 지속적은 특허 출원이 예상된다.
특허청 원종혁 바이오헬스케어심사과장은 "기존 진단법의 정확도(민감도·특이도)와 검출 속도를 높인 기술에 더해 여러 종의 호흡기 감염 바이러스를 한 번에 검사해 선별하는 감별 진단기술에 대한 특허가 출원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신속하고 정확한 특허심사, 주요 감염병 진단기술에 대한 산업·특허동향 분석 및 제공을 통해 K-방역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